|
[스포츠조선 김 용 기자] 전창진 감독이 대단한 점, 유현준 중심의 농구로 우승을 했다는 것.
전 감독 농구의 핵심은 스타 위주로 경기를 풀어가지 않는다는 점. KCC에는 리그 최고의 스코어러 이정현과 MVP 후보로 거론되는 송교창 등 화려한 선수들이 있다. 보통 감독들이 팀에 부임하면 확실한 카드 중심으로 팀을 운영하는 게 보통이다.
하지만 전 감독은 이를 거부했다. 지난 시즌에는 이정현 등 선수들과의 주도권 밀당(?)이 살짝 있었고, 이대성(오리온) 트레이드 등이 사실상 실패였다. 시행 착오를 겪은 전 감독은 이번 시즌 확실하게 색깔을 정했다. 포인트가드 유현준 중심의 팀을 만든 것이다. 자신의 조직 농구를 구현하기 위한 필수 요소였다.
교통 정리가 자연스럽게 됐다. 이정현이 공을 소유하는 시간이 줄어들었고, 체력을 아낀 이정현은 꼭 필요할 때 득점을 해주는 해결사 역할에 집중할 수 있었다. 송교창이 MVP 경쟁 후보 허 훈(KT)처럼 눈에 잘 띄지 않는 것도 유현준 중심의 농구를 했기 때문이다. 송교창의 희생이 있어 가능한 시나리오였다. 군더더기 없는 꼭 필요한 플레이만 했다. 전 감독 부임 전 KCC의 농구를 돌이키면 고 안드레 에밋과 이정현 혼자 농구를 하는 팀이었다. 확실하게 비교가 된다.
정창영도 전 감독의 또 다른 작품이다. 키가 작고, 수비력이 약한 유현준의 단점을 보완해줄 완벽한 대체 카드였다. 프로 데뷔 후 개인 능력은 인정받았지만, 팀 플레이에서 약점을 지적받던 정창영은 전 감독을 만나 완전히 다른 선수가 됐다. 이 두 사람이 없었다면 KCC의 우승도 없었을 가능성이 높다.
김 용 기자 awesome@sportschosun.com
▶재테크 잘하려면? 무료로 보는 금전 사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