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류동혁 기자]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의 이미지는 최근 4년간 고정적이다. 미래가 없어 보이는 동부 약체.
우승에 도전할 전력이 아닌데, 리빌딩 모드도 아니었다. 러브의 장기 부상이 겹쳐졌다. 이때부터 긴 리빌딩 모드에 들어갔다.
2018년 콜린 섹스턴, 2019년 다리우스 갈란드를 1라운드에 지명했다. 하지만, 잠재력은 미지수였다. 대형 스타가 아니었다.
포인트가드 갈란드가 스텝 업에 성공했다. 골든스테이트 스테판 커리는 '갈란드는 최고 스타가 될 자질을 갖췄다'고 극찬했다. 올 시즌 평균 19.4득점, 7.3어시스트. 완벽한 메인 볼 핸들러로 거듭났다. 게다가 약점으로 지적된 3점슛 성공률 역시 평균 6.7개의 3점슛을 시도하고 있고39%의 성공률을 기록 중이다.
재럿 앨런은 리그 최상급 빅맨으로 거듭나고 있다. 3점슛 능력은 부족하지만, 골밑 장악력은 최상이다. 여기에 수퍼 루키 에반 모블리는 공수를 모두 갖춘 전천후 빅맨으로 각광받고 있다. 특히, 앨런과 모블리가 지키는 더블 포스트는 너무나 강력하다. 두 선수는 림 근처 로 포스트에서 수비력이 리그 1, 2위를 기록 중이다. 앨런은 57.5%의 슈팅 허용율, 모블리는 55.4%를 기록 중이다.
현 시점에서 모블리는 신인왕이 유력하고, 앨런은 올스타에 뽑힐 확률이 상당히 높은 퍼포먼스다.
클리블랜드는 상당히 흥미로운 실험을 하고 있다. 현대 농구의 대세인 스몰볼에 반하는 '롱볼'을 구사한다. 앨런, 모블리, 로리 마카넨 모두 2m10이 넘는 빅맨이다. 러브 역시 2m8의 큰 키를 가지고 있다.
앨런을 제외하면 내외곽 플레이가 모두 능하고, 강력한 윙스팬으로 내외곽의 수비를 커버한다. 게다가 팀의 주축인 모블리, 앨런, 갈란드, 오코로, 섹스턴, 마카넨 모두 24세 이하의 젊은 선수들이다.
게다가 승리 기본공식인 수비력이 매우 강하다. 올 시즌 DRTG(100번 수비 당 기대실점)는 101.4점으로 리그 2위다. 1위는 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다.
올 시즌 클리블랜드는 19승13패, 리그 5위를 순항하고 있다. 필라델피아 벤 시몬스를 데려오기 위한 트레이드 대상 팀으로 언급된다.
2년 전만 해도 암울했던 클리블랜드는 빅맨 유망주를 모으고, '롱볼'을 실험하면서 성공적 리빌딩, 단기간 동부 최고의 다크호스로 떠올랐다. 팀 전력을 강화하기 위한 여러 옵션들이 너무나 많아졌다. 클리블랜드는 어떤 선택을 할까. 류동혁 기자 sfryu@sportschosun.com
▶2022 임인년 신년운세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