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최만식 기자] 프로농구 전주 KCC가 아쉬움을 뒤로 한 채 시즌을 마감했다. 2022~2023시즌을 앞두고 자유계약선수(FA) 최대어 허 웅 이승현을 동시에 보강했던 터라 6강 플레이오프 3연패 탈락의 아쉬움은 더 컸다.
|
체력훈련은 단순히 지구력이나 파워를 키우는 게 아니다. 부상이 자주 일어날 수 있는 발목, 무릎 등의 주변 근육을 강화시켜 안정적으로 시즌을 치르도록 보강하는 과정이다. 그런데도 허 웅 이승현뿐만 아니라 작년 여름 태백 체력훈련 때 정상 참가 선수가 전체 인원의 절반도 안될 정도였다. 결국 준비가 덜 된 상태에서 시즌에 들어가 릴레이 부상으로 고전한 것은 어찌보면 예견된 악재였다. 거꾸로 올해는 긴 휴가를 보낸 이후 정상적인 훈련 참가를 기대할 수 있다.
|
KCC의 과제 리스트 마지막 퍼즐은 리딩가드다. KCC는 과거의 주무기였던 빠른 트랜지션, 라건아를 활용한 '투맨게임'을 살리지 못한 채 올시즌 내내 고전했다. 코트에서 제대로 지휘해 줄 정통 포인트가드가 없었기 때문이다. 유현준(상무)이 떠난 이후 '가드 고민'은 심화됐다. 신인 송동훈이 가능성을 보여줬지만 아직 경험이나 높이에서 아쉬운 점이 많다.
KCC는 샐러리캡 부담을 늘 안고 있는 만큼 똘똘한 가드 영입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내부적으로 키우든, 트레이드를 하든 확실한 리딩가드를 확보한 뒤 다음 시즌을 맞이하는 게 또다른 과제다.
이들 과제를 해결한 뒤 오는 11월 중순 군대에서 단련된 송교창이 제대 복귀한다면 KCC의 부활을 기대할 수 있다.
최만식 기자 cms@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