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고재완 기자] 최근 개인과 기업, 심지어 전세계를 대상으로 한 국가의 광범위한 정보감시가 국제적 문제가 됨과 동시에, 영화의 소재로 다뤄지고 있어 화제다.
국가의 무차별 정보감시 실태가 세상에 드러나게 된 결정적인 계기는 바로 '스노든 사건'. 2013년 부즈앨런해밀턴의 직원으로 미국 국가안보국(NSA)에 파견 근무하던 에드워드 스노든은 미국 정부가 '프리즘'이라는 프로그램을 이용해 무분별한 통신감청을 하고 있다는 사실을 폭로해 큰 반향을 일으켰다. 이러한 스노든의 긴박했던 실제 폭로 상황을 생생하게 담아낸 리얼리티 스릴러 '시티즌포(Citizenfour)'가 오는 19일 국내 관객들을 찾는다.
|
지난 11일 개봉한 스파이 무비의 대명사이자, 007시리즈의 24번째 작품 '007 스펙터(Spectre)'에서는 제임스 본드의 과거 이야기와 함께 사이버 첩보 활동이 갈등의 한 축을 이루고 있다. 이번 영화에서는 전작 '007 스카이폴'이 제기한 '새 시대에 스파이가 과연 필요한가'에 대한 의문에서 한 발짝 더 나아가, 정보 요원을 양성하는 영국 해외정보국(MI6)을 디지털 시대의 국가 통합 감시체제인 '나인 아이즈'로 대체하려는 변화를 그렸다.
영화에 등장하는 '나인 아이즈'는 스노든 폭로 문서를 통해 밝혀진 '파이브 아이즈' (미국, 영국 등 영미권 5개국 정보협력체)를 연상케 한다. 실제로 국가간 공조 첩보활동이 이루어지는 상황에서, 테러조직과 연합해 무차별 정보수집을 감행하는 정부 권력에 맞서는 제임스 본드의 활약상잉 눈에 띈다.
|
국가간의 사이버 정보공유를 통한 첩보활동의 변화를 그린 '007 스펙터', NSA의 무차별 정보감시 실태를 고발한 '시티즌포'의 바톤을 이어받을 영화는 현재 촬영중인 '본 5(가제)'다. '원조 본' 맷 데이먼의 8년만의 시리즈 복귀로 더욱 주목 받는 '본 5'는 '스노든 사건' 이후의 이야기를 다룰 예정이다.
'본 얼티메이텀(2007)' 이후 폴 그린그래스 감독이 다시 메가폰을 잡은 '본 5'는 스노든 폭로 이후 부각된 시민의 권리와 국가 안보를 위한 스파이 활동에 관한 논쟁, 그리고 민주주의의 본질에 대한 영화가 될 전망이다. 특히 맷 데이먼은 2013년 유투브를 통해 "그는 정부의 입장을 완전히 거스른, 믿기 어렵고 놀라운 행동을 실천했다. 시민의 자유와 국가의 안보를 바꿀 때는 정부와 시민이 함께 고민한 뒤 결정해야 한다"라며 스노든의 결정을 지지한 바 있다. 때문에 맷 데이먼이 주연은 물론 시나리오와 제작에도 참여한 '본 5'가 얼만큼 깊이 있는 이야기와 사실감 있는 액션을 보여줄지 팬들의 기대를 모으고 있다.
고재완 기자 star77@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