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한국 e스포츠에는 여러 변화가 예고되고 있다.
새로운 e스포츠 전용경기장이 생기고, 리그 주최와 중계에도 새로운 플레이어가 가세한다. 여기에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이하 롤챔스)와 '스타크래프트2 월드 챔피언십'(WCS) 체계에도 변화가 생기면서 기존 판도를 흔들 것으로 보인다.
기존 곰TV를 대신해 아프리카TV가 리그 주최사로 새롭게 뛰어들고, SPOTV게임즈가 '리그 오브 레전드' 중계에 뛰어든다. 아프리카TV는 개인방송에 특화된 장점을 살려, GSL(글로벌 스타2 리그)을 다양한 포맷으로 중계할 예정이다. 아프리카TV는 롤챔스에서 뛰는 아나키팀을 인수, '아프리카 프릭스'라는 이름으로 새로운 e스포츠팀을 창단하며 e스포츠에 본격적으로 발을 들이게 됐다. SPOTV게임즈는 서머 시즌부터 롤챔스를 OGN과 함께 중계할 예정이다. 이 문제로 인해 지난해 말 다양한 주체들과 갈등을 겪은 바 있는데, SPOTV게임즈에서 중계하는 경기가 OGN에도 함께 제공되기 때문에 직접 비교가 불가피하게 됐다. 경쟁 구도를 통해 리그의 질적 향상이 이뤄질 수 있을지 주목된다.
이밖에 WCS가 4주년을 맞으며 대규모 변화를 맞게 됐다. '스타2' 세계 최강국인 한국, 그리고 북미와 유럽 등 나머지 지역을 통합한 2개의 체계는 그대로 유지되지만 'WCS 그랜드파이널'에서의 한국 선수 독식을 막아보겠다는 의도라 할 수 있다. 한국에서는 GSL과 스타리그가 그대로 유지되지만, 연중 3번씩 열리던 것이 2번씩으로 줄어들고 대신 대회별로 상금이 늘어난다. 또 매 시즌 종료 후 두 대회 결승 진출자 4명이 나서는 크로스 파이널도 새롭게 열린다. 해외에서 주로 뛰던 한국 국적의 선수들이 국내로 대부분 유턴하면서, 국내리그에서 더욱 경쟁이 치열해지는 긍정적인 효과를 볼 수 있게 됐다.
한편 롤챔스에 참가하는 팀들이 지난해에 이어 또 다시 엄청난 변화를 겪었다. '리그 오브 레전드'팀의 경우 선수들의 다년 계약 체계의 미흡으로 인해 매년 멤버들의 대거 교체가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지난해 롤챔스를 2연속 제패하고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롤드컵)까지 우승을 거둔 SK텔레콤 T1은 '마린' 장경환과 이지훈을 외국팀으로 떠나보냈지만 '듀크' 이호성을 영입하며 그나마 전력 손실을 최소화 시켰다. 롤드컵 준우승을 차지한 타이거즈가 아직 스폰서를 영입하지 못했지만 전력 누수가 거의 없는 가운데, 박정석 감독을 새로운 사령탑으로 세운 CJ엔투스, 이호종, 강형우 등을 영입하며 다크호스로 떠오른 롱주IM 등이 오는 14일 개막하는 롤챔스 스프링 시즌에서 어떤 성적으로 거둘 수 있을지 기대된다.
남정석 기자 bluesky@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