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고재완 기자] 어수선한 시국에 한국 영화 시장도 변화를 맞이할 조짐이 보이기 시작했다.
한국 영화시장의 고질적인 문제로 늘 따라다니던 배급사와 극장의 수직계열화 문제가 다시 대두됐기 때문이다.
지난해 기준으로 CJ CGV와 롯데시네마는 전국 스크린의 71.3%를 차지한 것으로 알려졌다. 과점 상태인 것. 이 두 업체는 CJ E&M과 롯데엔터테인먼트라는 배급사를 함께 가지고 있어 수직계열화 논란이 끊이지 않았던다. 두 업체 모두 "스크린을 보유하고 있다고 배급에 유리하지 않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계열사가 배급하는 작품에 스크린을 더 많이 내준다는 의심은 계속 이어져 왔다.
이에 '대기업의 영화상영과 배급의 겸업을 금지한다'는 골자의 개정안이 나온 것. 만약 개정안이 발효된다면 계열사인 CJ E&M과 CJ CGV는 둘 중 한 사업을 포기해야하는 상황이다. 또 배급업과 극장사업을 한 회사에서 진행하고 있는 롯데쇼핑 측은 한쪽 사업부문을 매각해야한다.
미국의 경우 우여곡절 끝에 수직계열화가 부분 허용된 된 바 있지만 극장업과 배급업이 시너지를 내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라 실패한 케이스가 더 많다. 실제로 대형 메이저 스튜디오들은 90년대 멀티플렉스 체인을 인수했지만 성과를 거두지 못하거나 도산해 대부분의 업체들이 극장업에서 손을 뗀 것으로 알려졌다.
|
이밖에도 도종환 의원은 '예술·독립영화의 전용상영관 지원 확대' '복합상영관에서 예술·독립영화 전용상영관 1개 이상 지정' '전용관은 예술·독립영화 60%이상 의무 상영' 등의 영화계 다양성 확보를 위한 내용까지 포함돼 이 법이 발효될지 영화계의 비상한 관심을 모으고 있다.
고재완 기자 star77@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