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이승미 기자]엄유나 감독이 영화 '말모이'를 통해 전하고 싶은 것에 대해 이야기 했다.
우리말 사용이 금지된 1940년대, 까막눈의 한 남자가 조선어학회 대표를 만나 사전을 만들기 위해 비밀리에 전국의 우리말과 마음까지 모으는 이야기를 담은 휴먼 영화 '말모이'(더 램프 제작). 연출을 맡은 엄유나 감독이 26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 카페에서 가진 라운드 인터뷰에서 개봉을 앞둔 소감과 영화 속 비하인드 에피소드를 전했다.
|
아직까지는 연출자, 감독 보다는 천만영화 '택시운전사'의 각본가로 대중에게 더 익숙한 엄유나 감독. 그는 '택시운전사'와 '말모이'의 이야기 구조의 유사성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전했다.
"외부인이 거대한 사건에 휘말리거나 어떤 단체에 들어가고 그 단체에서 만난 사람들로 인해서 성장하는 이야기 구조는 비단 '택시운전사' 뿐만이 아니라 많은 작품에서 다뤄져 왔다. 사실 '택시운전사'와 유사해 보일 수 있는 이야기 구조에 대한 부담감이 없진 않았다. '말모이'가 내 첫 영화이니 만큼 '택시운전사'의 이야기 구조를 의도적으로 피해가야하는 건 아닌가라는 생각도 했다.
하지만 모든 영화와 이야기는 각자가 가야할 길이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말모이'가 선택한 이 길이 관객들에게 가장 큰 감동을 줄 수 있는 길이라고 생각했다. 그런 이야기 구조가 '택시운전사'와 비슷하다고 해서 억지로 그 길을 피해가는 건 오히려 비겁한 일처럼 느껴지더라. 그래서 '택시운전사'를 신경쓰지 않고 오로지 '말모이'가 가야하는 길만 고민했다. 물론 보시는 분들이 '택시운전사'와 비슷하다고 느낄 수도 있겠지만, '말모이'는 오로지 '말모이'로 봐주셨으면 좋겠다."
|
유해진의 이 같은 의견에 "전적으로 동의한다"고 말한 엄유나 감독은 "웃음을 주기 위해 만든 장면이 웃음을 주었다고 해서 지적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지 않나. 우리는 눈물 나는 장면을 지나치게 냉정하게 바라보고 있는게 아닐까 싶다"고 입을 열었다. 그러면서 "전 조선어학회를 다룬 다큐멘터리를 처음 봤을 때 굉장히 울컥했다. 다큐멘터리 보고 눈물을 흘리는건 아무도 뭐라고 하지 않지 않나. 다큐멘터리이건 영화이건 눈물이 나오는 건 이야기가 가지고 있는 자연스러운 감정에서 비롯된 것이라 생각한다. 영화를 찍으면서 '이 장면에서 일부러 관객을 울려야 겠다' '이렇게 하면 더 울겠지'라는 생각은 가져본 적은 단 한번 없다. 이야기를 자연스럽게 따라가다보면 자연스레 눈물이 나올 수 있는 장면이 나온거라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
한편, '말모이'는 유해진, 윤계상, 김홍파, 우현, 김태훈, 김선영, 민진웅 등이 가세했고 '택시운전사' 각본을 쓴 엄유나 작가의 첫 장편영화 데뷔작이다. 내년 1월 9일 개봉.
smlee0326@sportschosun.com
▶스포츠조선 '유소년 스키육성캠프'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