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인터뷰②] '기생충' 제작자 "봉준호 향한 20년 팬心..난 성공한 덕후"

기사입력 2019-06-17 15:42


17일 영화 '기생충'의 제작자 곽신애 대표가 서울 한남동 사무실에서 인터뷰에 응하고 포즈를 취하고 있다. 송정헌 기자 songs@sportschosun.com/2019.06.17/

[스포츠조선 조지영 기자] 곽신애(51) 바른손이앤에이 대표가 "봉준호 감독 향한 20년 팬심이 '기생충'으로 꽃피웠다"고 말했다.

전원 백수인 기택(송강호)네 장남 기우(최우식)가 가족들의 기대를 한 몸에 받으며 박사장(이선균)네 과외선생 면접을 보러 가면서 시작되는 예기치 않은 사건을 따라가는 이야기를 그린 가족희비극 영화 '기생충'(봉준호 감독, 바른손이앤에이 제작). 봉준호 감독이 '마더'(09) 이후 10년 만에 한국영화로 컴백한 작품이자 '옥자'(17) 이후 2년 만에 신작, 그리고 지난달 열린 제72회 칸국제영화제에서 한국영화 최초 황금종려상(최우수작품상)을 수상한 기념비적인 작품이다.

매 작품 통념을 깨는 동시에 허를 찌르는 상상력으로 관객들과 언론·평단을 사로잡은, 한국의 대표 감독 봉준호. 이런 봉준호 감독의 7번째 연출작인 '기생충'은 특유의 블랙 코미디가 잘 녹아난 것은 물론 한국 사회를 넘어 전 세계가 처한 빈익빈 부익부 현상을 날카로운 메시지로 꿰뚫어 신랄하게 담았다.

그야말로 평단과 관객 모두에게 호평을 얻은 올해 최고의 작품 '기생충'은 영화인들에겐 꿈의 무대와도 같은 칸영화제에서 최고의 영예인 황금종려상을 거머쥐며 작품성을 인정 받았고 이는 한국영화 100년사를 뒤흔든 사건으로 역사의 한 획을 긋게 됐다. 그리고 역사의 중심에는 '기생충'을 만든 봉준호 감독의 탄탄한 연출도 연출이지만 '기생충'의 처음과 끝을 모두 도맡아 진두지휘한 제작자 곽신애 대표의 피땀눈물도 담겨있다.

곽경택 감독의 친동생, 정지우 감독의 아내로 이미 업계에서는 인지도가 높은 곽신애 대표. '충무로 스타패밀리' 유명한 곽신애 대표는 1990년대 영화 전문 월간지 'KINO(키노)'의 기자로 활동, 이후 영화 홍보대행사 '바른생활' 대표, 영화제작사 청년필름 기획마케팅 실장, 영화제작사 엘 제이필름·신씨네 기획마케팅 이사를 거쳐 2010년부터 바른손 영화사업부 본부장으로 활동했고 이후 2013년 바른손필름을 이끄는 대표로 선임, 지금의 바른손이앤에이에서는 없어서는 안 될 수장으로 활약하고 있다.

제작자로서 본격적으로 메인 타이틀을 올린 첫 작품 '가려진 시간'(16, 엄태화 감독)에 이어 '기생충'은 곽신애 대표의 두 번째 메인 제작 작품. 두 번째 작품으로 칸영화제 황금종려상이라는 영예를 안았고 국내에서만 834만명(16일 기준)을 동원하며 흥행에 성공했다. 또한 전 세계 192개국(현재 4개국과 추가 판매 논의 중)에 '기생충'을 판매, 한국영화 역대 세계 판매 1위라는 신기록을 세웠다.


90년대 영화 전문 월간지를 대표한 'KINO 99호(마지막 발행). 봉준호 감독과 곽신애 대표는 KINO 인터뷰를 장식한 것으로 인연을 시작, 서로를 기억했다..

90년대 영화 전문 월간지를 대표한 'KINO 99호(마지막 발행). 봉준호 감독과 곽신애 대표는 KINO 인터뷰를 장식한 것으로 인연을 시작, 서로를 기억했다..
17일 오전 서울 용산구 한남동에 위치한 바른손이앤에이 사무실에서 스포츠조선과 만난 곽신애 대표는 봉준호 감독과 인연에 대해 "봉준호 감독과 깊은 인연은 '기생충'이 처음이다. KINO 기자로 일했을 때 나 역시 사회 초년생이었다. 봉준호 감독을 비롯해 류승완 감독, 장준환 감독 등 그 시대 막 이름을 알리던 감독들이었다. 특히 KINO에서도 기자들이 각각 좋아하고 애정하는 감독들이 있었는데 봉준호 감독은 내가 좋아하는 색깔의 감독이었다. 일명 '키노가 사랑하는 감독들' 중 한 명이었던 것"이라며 "그렇게 나 혼자 좋아하던 감독이었고 영화 마케팅, 제작으로 일을 옮기면서 알음알음 알게 됐다. 서로가 아는 사람들을 통해 소개를 받았고 마주치면 인사하는 사이로 20년을 넘게 보냈다. 정말 정확히 인연을 맺은 건 '기생충'이 처음이다"고 머쓱하게 웃었다.

그는 "봉준호 감독이 '마더' 제작을 바른손이앤에이와 함께했다. 그 당시엔 내가 바른손이앤에이에서 일하기 전이었는데 이번에 드디어 함께하게 됐다. 봉준호 감독이 15장 분량의 '기생충' 시놉시스를 보여준 게 아직도 기억이 난다. '이런 이야기를 하려고 한다'며 시놉시스를 줬는데 단 15장만으로도 좋았다. 그냥 시작부터 끝까지 좋았다. 물론 팬심에서 생긴 작품에 대한 호감도도 높았겠지만 '기생충'이라는 발상부터가 신기했다. 마치 '기생충' 속 기정(박소담)이 연교(조여정)에게 '어머니, 저와 함께 이 검은 상자를 열어보시겠어요?'라고 말하는 기분이었다. 20년 팬심이 '기생충'이란 작품으로 완성된 것이다. 성공한 덕후인 셈이다"고 고백했다.


이어 "15장의 시놉시스에 얼마나 많은 내용을 담을 수 있겠나? 지금의 완성본에 비하면 아주 일부분의 이야기였다. 그런데 주변에서 다들 봉준호 감독이 영화를 다 만들었을 때는 비어있던 부분도 전부 채워지니까 절대 걱정하지 말라는 이야기가 많았다. 2015년 4월 15장의 '기생충' 시나리오를 받았고 이후 봉준호 감독 외에 2명의 작가에게 2가지씩 버전을 받았다. 그리고 다시 2017년 12월 봉준호 감독에게 '기생충'의 최종 시나리오를 받았다. '역시 봉준호 감독이구나'라는 생각이 머릿속에 떠나지 않았다"고 감탄했다.

'기생충'은 송강호, 이선균, 조여정, 최우식, 박소담, 장혜진 등이 가세했고 '옥자' '설국열차' '마더' '괴물'의 봉준호 감독이 메가폰을 잡았다.

soulhn1220@sportschosun.com


사주로 알아보는 내 운명의 상대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