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인터뷰③] 박하선 "출산 후 복귀..엄마·아내 아닌 '나'로 살고파"

문지연 기자

기사입력 2019-08-30 08:00


사진=키이스트 제공

[스포츠조선 문지연 기자] 배우 박하선(31)이 엄마와 아내로서의 배우로서의 삶에 대해 언급했다.

박하선은 2005년 SBS 드라마 '사랑은 기적이 필요해'로 본격적인 배우 데뷔를 했고, 이후 KBS2 '경성 스캔들'(2007)과 MBC '동이'(2010), MBC '하이킥! 짧은 다리의 역습'(2011), MBC '투윅스'(2013), SBS '쓰리 데이즈'(2014) 등에 출연해 깊은 인상을 남긴 바 있다 뿐만 아니라 지난 2016년에는 tvN 드라마 '혼술남녀'로 시청자들의 사랑을 한몸에 받으며 로맨틱 코미디 여자 주인공으로 이름을 날렸다. 2017년 1월 배우 류수영과 결혼한 뒤 8월 첫 딸을 출산했고 이후 배우 활동을 쉬다 최근 종영한 채널A '평일 오후 세시의 연인'(유소정 극본, 김정민 민정아 연출)으로 복귀했다.

'평일 오후 세시의 연인'은 금기된 사랑으로 인해 혹독한 홍역을 겪는 어른들의 성장드라마를 그리며 마니아층에게 사랑을 받았다. 박하선은 극중 수수한 외모에 아담한 키, 튀지 않는 조용한 성격의 소유자인 손지은 역을 맡아 이상엽과 과감하고 치명적인 멜로 라인을 만들어냈다.

박하선은 29일 오후 서울 강남구 한 카페에서 스포츠조선과 만나 '평일 오후 세시의 연인' 종영 인터뷰를 진행했다. 짙은 멜로가 등장하는 만큼, 남편인 류수영의 반응도 궁금해졌다. 박하선은 "(남편에게) 케미가 좋다는 반응을 들었다. 많이 들어서 좋았고, 좋은 얘기 많이 해줬고 영화 같다고 하고, 좋다는 얘기를 많이 해줬다. 그런데 또 뭐가 다 좋겠나. 좋다고 하고 몰래 봤다더라"며 "애틋하고 잘 어울려서 좋지만은 않다고 하더라. 질투는 잘 안 한다고 했는데, '혼술남녀' 때도 질투 엄청 했다. 그래서 너무 이상엽 씨한테 미안하더라. 그렇게 신경 쓰면 안 좋은데"라고 말했다.

박하선은 이어 "저는 사실 직장에서 사생활 얘기를 잘 안하는 타입이다. 집안 얘기라 잘 안 하는데, 이번에는 이상엽 씨한테 미안했다. 저는 반면에 류수영 씨 연기에 대해 쿨하다.연기니까. 그런데 키스신이나 스킨십신은 괜찮다. 찍으니까 아는데 느껴지지도 않는데 일이다. 키스하고 잠깐만 하고 웃고 키스하면 '잠깐만 이런 게 대본에 있나' 싶었다. 오빠도 그런 거에 예민하더라. '애틋하다. 잘 어울려' 이런 느낌이다. '아니 저게 대본에 있는 걸까 ,애틋하게 쳐다본다'이런 게 있나 싶은 생각은 든다. 그런 부분에서 질투심이 샘솟기도 한다. 인간이니까"라고 말해 웃음을 자아냈다.

류수영은 올해 초 인터뷰에서 자신을 85점 남편이라고 평가한 바. 박하선은 "인정해야지 어쩌겠냐"면서도 "너무 고마웠다. 일만 할 수 있어서 고마웠다. 저는 엄마하기가 바빠서 아내로서는 점수를 매기기 힘들다. 점수로 하면 사실 저는 아주 낮다. 사실 저희 드라마에서도 나오는데 '나는 이제 누구의 아내가 아닌 연인이 아닌, 며느리가 아닌 나로 살아갈 것입니다'라는 대사가 있었는데, 많은 기혼 여성들을 대변하는 말 같았다. 그 무게가 있지 않나. 아내, 엄마, 며느리. 어릴 때부터 느꼈는데 저희 집이 안 좋을 때도 힘들던 시절에도 내가 빨리 잘돼서 성공하고 돈을 벌어야 우리집이 다같이 행복해진다고 생각했다. 집에서 일하는 것도 좋아한다. 그러면 애가 밝아지고 쿨해지니까. 내가 바로 서있고, 내 일을 내가 잘하고, 그래야 아이에게 '네가 잘하면 좋겠어'라고 말할 것 같았다. 얘가 하고픈 일을 하게 해주는 것이 목표인 것 같다. 그래서 사실 저는 그것보다는 저를 더 생각하게 되더라. '엄마로 아내로 잘해야지'도 중요하지만 그것보다는 '혼술남녀' 전 2년과 '오세연' 전 3년 ,통합 5년을 쉬었는데 일을 좀 더 하면 좋지 않을까 싶다"고 자신의 솔직한 생각을 밝혔다.


사진=키이스트 제공

사진=키이스트 제공
이어 박하선은 "결론은 저희는 조금 잘 살고 있다. 생각해보면 어려운 일이다. 농담으로 이런다. '나는 이제 독립시키면 크루즈 타러 갈거야 디카프리오 만날거야' 이러고 그런다. 가난뱅이 만나라 그러는데 그러면 땡큐지 그러고 논다"고 말하며 웃었다.

또 박하선은 "많은 육아서적을 읽었는데 엄마가 행복해야 아이가 행복하다고 하더라. 제가 행복해야 우리 가족이 행복하다는 생각이다. 결혼 전에도 그랬다. 우리집이 힘들었으니까. 그래도 감정적으로 동요하지 않았다. 내가 돈을 벌고 성공하면 달라지겠지 생각했다. 지금은 좋아하신다. 집이 못살아서 이사도 많이 다녔는데, 지금은 되게 좋으니까 너무 행복해하고 좋아하신다. '아 내 생각이 틀리지 않았구나' 싶었다. 그 잠깐 원망을 듣더라도 내가 성공하고 그래야 할 것 같았는데 진짜 그렇게 된 것 같아서 지금도 젊고 그러니까, 나중에 이걸 안하면 탓을 할 것 같더라. 자꾸 그 생각이 들었다. 왕년에 과거 얘기를 많이 하는데, 그러면 '왕년 말고 이번년에 잘하면 되는데'라는 그런 마음이다. 아직은 과거형이 아니라 현재진행형이라, 내일 당장 지구가 끝난다고 정해지면 예전엔 일을 했겠지만 지금은 집에 갈 것 같다. 그럼에도 왜 이게 하고 싶을까 생각하니 '내가 이걸 진짜 좋아하는구나' 싶었다. 일을 하는 것이 좋고 행복하다. 남편과 서로 주저하지 않으면 좋겠다고 했다. 저도 마찬가지다. 부모님들도 많이 도와주시고, 그리고 '너는 참 젊고 예쁘다 마음껏 일하렴'이라고 하신다. 그래서 얘기하기가 조심스럽다. 서로 언급이 되면 편견이 생기지 않나. 이걸 만나기 전까지 그런 편견도 있더라. 아이가 있는 것에 대한. 감독님도 '그런 상황이기 때문에 할 수 있었다'고 했다. 30대 여성 캐릭터들도 많아지고, 점점 더 열려가는 것 같다. 결혼하고 애낳고 나와서 잘 활동하는 분들도 있다"고 소신을 밝혔다.


박하선은 '평일 오후 세시의 연인'을 마친 뒤 차기작을 휴식을 취하며 차기작을 검토한다.

문지연 기자 lunamoon@sportschosun.com


▶사주로 알아보는 내 운명의 상대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