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SC초점] 너도 나도 트로트…'제2의 임영웅' 탄생할 수 있을까

백지은 기자

기사입력 2020-12-11 09:13



[스포츠조선 백지은 기자] 트로트 과열장이다.

TV를 틀기만 하면 트로트가 흘러나오고, 임영웅을 필두로 한 '미스터트롯' 톱6를 모델로 기용한 CF가 즐비하다. 나훈아의 콘서트는 단 한회 방송으로 '테스형 신드롬'이 불어닥쳤고, 개그맨 배우 등도 트로트 앨범을 잇달아 발매하며 지대한 관심을 보인다. 이쯤되면 트로트 열풍을 넘은 '광풍'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시작은 TV조선 '미스트롯'과 '미스터트롯'이었다. 최초의 트로트 오디션에 중장년층의 잠들어있던 소년소녀 감성이 눈을 떴다. 두 프로그램은 유례없는 히트를 기록하고, 송가인과 임영웅 등 우승자 뿐 아니라 톱7 안에 이름을 올린 이들이 모두 승승장구 했다. '미스트롯'과 '미스터트롯' 전국투어는 '피케팅'이란 말이 나올 정도로 전국민적 사랑을 받았다. 그러면서 케이블 종편 채널을 중심으로 아류 프로그램이 생겨났고 이제는 지상파 3사까지 트로트 시장에 발을 들였다. MBC '트로트의 민족', SBS '트롯신이 떴다'에 이어 KBS2 '트롯전국체전'까지 막을 올리며 트로트 오디션 프로그램 광풍이 몰아쳤다.

효과는 확실하다. '트롯전국체전'은 단 한회 만에 16.5%(닐슨코리아)의 시청률을 기록했고, '트로트의 민족'과 '트롯신이 떴다'도 10%대를 훌쩍 넘기며 인기몰이 중이다.


눈에 띄는 지점은 프로그램 접근 연령층이 다양화 됐다는 것. 트로트의 주팬층인 50대 이상 중장년층은 물론, 1030 젊은층까지도 프로그램에 관심을 보인다. 기존 트로트가 '가요무대' 등 단순 무대 구성에 그친데 비해 '미스트롯'을 기점으로 생겨난 프로그램들은 트로트에 오디션 형식을 도입해 아이돌 트렌드인 '포켓돌', 즉 '내가 키운 가수'라는 애착 관념을 생기도록 한 것이 주효했다. 여기에 코로나19 여파로 시청자들이 갈 곳이 없어졌다는 시대상도 한 몫 했다. 연말 모임은 물론 공연까지 모두 취소 혹은 연기되며 집에 있는 시간이 늘어나자 TV를 탐닉하게 됐고 이때를 노린 트로트 오디션이 '코로나19 특수효과'를 누리게 된 것이다.

트로트 오디션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은 나날이 높아지고, 코로나19 시국으로 행사와 무대는 현저히 줄어들었다. 이에 무명 가수 뿐 아니라 실력자들도 줄줄이 트로트 오디션에 도전장을 던지며 제2의 도약을 꿈꾼다. '트롯전국체전'의 진해성, '트로트의 민족' 김소연 안성준 등이 벌써 인기를 끌고 있고, 방송을 앞두고 있는 '미스트롯2'에도 박슬기, 카라 출신 영지, 배우 이재은, '미달이' 김성은, 나비, 김현정, 강예빈, 오승은, 채은정 등 왕년의 스타들까지 도전장을 던지며 파란을 예고했다.

그때 그 시절 스타들과 재야의 실력자들이 줄줄이 출사표를 던지다 보니 나날이 프로그램의 화제성과 퀄리티는 높아지고 팬층도 두터워지고 있는 것이다.


다만 반복되는 포맷과 겹치는 출연진에 대한 식상함을 어떻게 탈피할지가 숙제로 남아있다.


처음 '미스트롯'과 '미스터트롯' 열풍이 불었을 때까지만 해도 트로트는 비주류 장르로 치부됐다. 그래서 숨겨진 명곡을 발굴하고 올드하게만 봤던 트로트의 새로운 재미와 매력을 알아가는 재미가 쏠쏠했다. 하지만 지금은 상황이 달라졌다. 이미 TV를 틀기만 해도 트로트가 쏟아져 나오고 장윤정 진성 주현미 등 익숙한 얼굴들이 여러 방송에 모습을 비춘다. 노래도, 심사위원도 비슷비슷하다 보니 프로그램마다의 차별점을 찾기도 어려운 상태다. 트로트 시장도 점점 레드오션이 되어가고 있다는 얘기다.

이런 식상함이 쌓이다 보면 시청자는 등을 돌릴 수밖에 없는 노릇이다. 트로트 오디션에 기반을 두더라도 뭔가 새로운 맛을 일깨워 줄 수 있는 킬링 포인트를 만들어야 할 필요가 있다.

어쨌든 트로트 열풍은 당분간 계속될 전망이다. 과연 쑥대밭이 되어버린 트로트 오디션 시장에서 '제2의 임영웅'이 탄생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백지은 기자 silk781220@sportschosun.com


▶2021 신축년(辛丑年) 신년 운세 보러가기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