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SC초점] 넷플릭스 "韓콘텐츠에 올해 5500억원 투자"..전세계 저격할 경쟁력

문지연 기자

기사입력 2021-02-25 15:55


사진=넷플릭스 제공

[스포츠조선 문지연 기자] 5500억원의 대규모 투자가 올해에만 이뤄진다. 넷플릭스가 한국을 '아시아 콘텐츠 허브'로 정했다.

세계적 OTT(동영상 스트리밍) 플랫폼 넷플릭스(Netflix)는 25일 '콘텐츠 로드쇼 See What´s Next Korea 2021'을 온라인 생중계로 진행했다. 3세션으로 나눠진 행사 중 세션1에는 김민영 넷플릭스 한국, 동남아,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콘텐츠 총괄과 '킹덤' 김은희 작가, 그리고 '인간수업'을 제작한 스튜디오329의 윤신애 대표가 참석했다. 세션2에는 강동환 넷플릭스 영화부문 디렉터, 김태원 넷플릭스 영화부문 디렉터가 참석했으며 세션3에는 배종병-이기오 넷플릭스 시리즈부문 디렉터와 '킹덤 : 아신전', '지옥', '오징어게임', '고요의 바다' 제작진과 배우가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넷플릭스는 이날 2021년 올해 공개할 K-콘텐츠들을 공개하며 기대감을 드러냈다. '킹덤'과 '스위트홈' 등 시리즈물로 재미를 본 넷플릭스는 올해 '오징어게임'부터 '마이네임', '고요의 바다', '지금 우리 학교는', 'D.P. 개의 날', '무브 투 헤븐', '킹덤 : 아신전', '좋아하면 울리는 시즌2', '내일 지구가 망해버렸으면 좋겠어' 등 시트콤과 시리즈를 줄이어 공개한다. 이뿐만 아니라 올해는 '승리호'의 성공에 힘입어 K-영화 산업에도 직접 뛰어들 예정. 올해부터는 직접 오리지널 영화를 만들겠다고 선언, 정병길 감독의 '카터'와 박현진 감독의 '모럴센스'를 라인업으로 공개했다.

넷플릭스의 김민영 한국, 동남아,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콘텐츠 총괄은 2016년부터 2020년까지 한국 콘텐츠에 넷플릭스가 총 7700억원을 투자했음을 알리며 올해는 제작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콘텐츠 스튜디오 장기 계약과 5500억원의 투자금을 투입할 예정임을 밝히며 "전세계에 한국 콘텐츠를 알리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 모든 팬들이 한국 콘텐츠를 발견하고 즐거울 수 있도록 돕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이날 넷플릭스는 올해 공개 예정인 시리즈들의 배우와 제작진을 한 자리에 모아 콘텐츠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가는 시간도 가졌다. '킹덤 : 아신전'의 김은희 작가와 김성훈 감독부터, '지옥'의 연상호 감독, 김현주, 유아인, 박정민, 원진아, 양익준, 그리고 '오징어 게임'의 황동혁 감독, 이정재, 박해수, '고요의 바다'의 정우성 제작 대표, 박은교 작가, 배두나, 이준이 참석해 작품에 대한 궁금증을 풀고 공개 시기에 대한 귀띔을 하는 등 관심을 높였다. '킹덤'을 포함한 모든 작품은 올해 안에 공개될 예정이라 기대를 모은다.


사진=넷플릭스
또 이날 김민영 총괄은 온라인 화상 기자간담회를 추가로 갖고 향후 넷플릭스의 방향성에 대한 이야기를 나눴다. 그동안 K-콘텐츠의 힘을 두고 시청자들의 기대감이 하늘을 찌른 가운데, 내부적으로 평가하고 있는 한국 콘텐츠들에 대한 기대감 역시 드러냈다. 김 총괄은 "한국 콘텐츠는 현재 일시적 유행 현상을 넘어서서 글로벌 대중문화의 한 장르로 자리를 잡은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넷플릭스는 현재 한국 시장을 아시아 콘텐츠 허브로 설정하고 마켓을 확장해나가는 중이다. 그런 의미에서 한국에 대한 투자 역시 더 커질 전망.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총 5년간 7700억원을 투자한 것에 이어 올해는 한해에만 5500억원이라는 대규모 투자금을 투입한다는 점에서도 한국 콘텐츠 시장의 위상이 드러나는 셈이다.

여기에 넷플릭스는 현재 한국 내 활약 중인 신인 작가와 감독뿐만 아니라 콘텐츠 제작자들의 역량을 최대한으로 발휘할 수 있도록 돕겠다고 했다. 김 총괄은 "한국 콘텐츠는 실제 업계 생태계가 탄탄하고 훌륭하게 갖춰졌다. 작가 양성 훌륭한 시스템과 제작자들도 훌륭한 분들이 많다 보니, 다양한 스토리가 나오고 그렇게 나오는 작품들의 퀄리티가 너무 훌륭한 것 같다"며 최근 파주와 연천의 세트장 두 곳을 장기임대한 것을 언급 "한국 오리지널 콘텐츠에 대한 큰 계획이 있고, 장기간의 임대 계약을 맺은 거라고 보시면 된다. 투자가 커짐에 따라 더 큰 기획이 필요할 거 같고, 함께 작업을 하시는 파트너들을 위한 인프라 마련에 어떤 방식을 할 수 있을지 고민을 해야 할 거 같다"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김 총괄은 "저희는 한국에서 굉장히 오래 함께하고 싶기에, 저희 콘텐츠 팀과 제작팀뿐만 아니라 다양한 부문에서 뭘 하면 좋을지 고민하고 있다. 한국에서 5년밖에 안 됐다. 한국에서 콘텐츠 팀이 함께한지도 2~3년도 채 되지 않았기에 더 노력할 것"이라고 밝히며 앞으로 넷플릭스가 한국의 콘텐츠들과 동반 성장할 것임을 확인했다.

문지연 기자 lunamoon@sportschosun.com


▶2021 신축년(辛丑年) 신년 운세 보러가기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