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이승미 기자]영화관 업계가 코로나19로 인해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며 정부가 실효성 있는 지원책을 마련해줄 것을 한 목소리로 촉구했다.
이 회장은 "극장업은 모든 산업을 통틀어 보더라도 손꼽히는 피해업종"이라며 "그럼에도 정부의 지원책은 상당히 제한적이고 일시적"이라고 말했다. 이어 "특히 영화산업 지원을 위해 사용된 재원은 영화 티켓값의 3%를 모아 조성한 영화발전기금을 전용해 마련한 것으로 당연히 극장을 포함해 영화업계 구제를 위해 쓰여져야 하는 돈임에도 정부는 까다로운 조건을 내걸어 제약을 가한다"며 정부 지원 부족에 대해 토로했다.
|
멀티플렉스 간판을 달고 있지만 실제 개인이 소유하고 있는 위탁사들도 현 상황의 심각성 전파에 동참했다. CGV칠곡의 임헌정 대표는 "극장 운영사가 대기업이라는 이유로 철저히 지원에서 소외되면서 멀티플렉스 상영관의 약 37% 이상을 차지하는 위탁점주들은 지금 사지에 내몰린 상황"이라며 "지금은 대기업이냐 아니냐를 논하지 말고 모든 영화관에 대한 정부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가 현 상황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최근 3년 동안 영화계가 낸 영화발전기금을 되돌려주거나 저금리 대출의 길이라도 열어달라"고 말했다.
실제로 영화산업은 코로나19라는 유례없는 사태로 직격탄을 맞으며 그야말로 존폐 위기에 놓여있다. 2020년 전체 극장 관객수는 전년 대비 74% 감소하며 통전망이 가동된 2004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영화산업 매출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극장이 초토화 됨에 따라 그 여파는 한국 영화 업계 전반에 걸친 위기로 이어지고 있다.
|
이 자리에 참석한 업계 관계자들은 "기생충, 미나리 등 한국영화가 국제 무대에서 선전을 거듭하고 있는 지금 영화 산업을 방치하면 제2의 기생충, 제2의 봉준호, 제2의 윤여정은 기대할 수 없다"며 "정부는 코로나 19 위기 타계를 위해 업계의 의견을 수렴한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보호 방안으로 영화 산업 존속을 지원하며 장기적으로는 영화산업을 기간산업으로 보고 과감한 지원 예산을 마련해 주길 바란다"고 한 목소리로 주장했다.
이승미 기자 smlee0326@sportschsoun.com
재테크 잘하려면? 무료로 보는 금전 사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