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문지연 기자] 입짧은 햇님부터 쯔양, 감스트 등 유튜버들의 방송 진출은 이제 낯선 일이 아니다. 이미 방송가에서 활약하고 있는 유튜버들은 많고, 심지어 유튜브 콘텐츠 '머니게임'을 만들어낸 진용진이 지상파 예능 프로그램의 연출까지 맡는 등 경계가 완전히 허물어지고 있다.
방송사들이 OTT와 유튜브를 통해 예능 프로그램을 만들어내기도 했었지만, 이번에는 유튜브 콘텐츠 제작자들이 OTT와 TV에 진출하며 완전히 달라진 흐름을 보여주고 있다. 왓챠는 최근 여행유튜버 빠니보틀이 연출했던 드라마 '좋좋소'의 확장판을 독점 공개하고, 유튜브를 통해 만들어진 예능프로그램 '가짜사나이'도 선보였다. 여기에 MBC는 유튜브에서 방영됐던 인기 웹드라마 '짧은대본'의 시영편을 MBC M을 통해 방송했다.
그동안 유튜버들이 출연자로 함께하는 경우는 있었지만, 실제 연출자가 되는 것은 초유의 일. MBC 역시 이에 대한 기대감을 여실히 드러낸 바 있다. 이뿐만 아니라 진용진은 '피의게임'의 연출자 자격으로 제작발표회에 직접 참여해 언론과의 인터뷰를 진행하는 등 "지상파 최고 수위"를 강조하는 파격 행보를 펼쳤다.
|
그러나 신선함이라는 무기에도 불구하고 아직은 TV와 유튜브 사이 수위 조절이 필요하다는 시청자들의 의견 역시 존재한다. 유튜브를 통해 제약 없이 펼쳐지는 예능 콘셉트나, 이를 통해 만들어진 자극적인 이야기들을 TV에 그대로 담아내기는 위험성이 잇따른다는 것. 일례로 축구 유튜버인 감스트는 지상파에서 해설을 맡았다가 각종 논란 발언들로 인해 자숙의 시간을 갖기도 했다. 또 '가짜사나이' 역시 출연진들의 논란으로 인해 방송을 제대로 이어가지 못했던 바. 이는 여전한 숙제로 남았다.
다만, 유튜브 콘텐츠를 TV식으로 품어보고자 하는 노력들은 종종 화제성 높은 예능의 탄생으로 돌아오기도 하는 중. '강철부대'는 '가짜사나이'를 넘어서는 인기를 가졌고, '피의게임'도 스튜디오 패널들의 등장으로 자극성을 순화하는 등 색다른 재미를 만들어나가는 중이라 앞으로 TV와 유튜브 등 콘텐츠의 융화에 대한 기대감으로 이어지고 있다.
문지연 기자 lunamoon@sportschosun.com
2022 임인년 신년운세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