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강릉=연합뉴스) 유형재 기자 =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이자 국가 무형유산인 천년 축제 강릉단오제가 2일 전통 의례인 신주미 봉정과 신주빚기 행사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막을 올렸다.
신주미를 받은 강릉단오제보존회 회원들이 시청, 적십자회관, 임당동 성당을 거쳐 칠사당까지 도보로 이동했다.
이번 신주 행렬은 2018년까지 이어지다 중단된 이후 7년 만에 강릉단오제 전통의 맥을 다시 잇는다는 의미로 복원했다.
옛 관아인 칠사당에서 열린 신주빚기 행사는 지신밟기, 제독, 부정굿, 신주빚기 순으로 진행됐다.
제례부는 입에 한지를 문 상태로 쌀과 누룩을 섞고 '함'에 담는 신주를 빚는 과정을 시민과 함께 나누며 단오제 시작을 알렸다.
강릉단오제보존회와 강릉단오제위원회 관계자는 "오는 12일 대관령 국사성황사에서 열릴 대관령국사성황제와 산신제 행사를 통해 강릉단오제 본행사를 차질 없이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2025 강릉단오제는 '스무살, 단오'를 주제로 오는 27일부터 6월 3일까지 강릉 남대천 일원에서 열린다.
yoo21@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