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세 거점으로 분산된 이번 축제는 접근성이 좋은 장미공원과 생활 거점인 도계장터에서 낮 공연과 상설 체험을 즐긴 뒤 셔틀을 타고 대이동굴 메인 무대로 이동하는 흐름이 기본 동선이다.
이를 뒷받침하고자 축제 첫날에는 45인승 셔틀 4대를 투입해 장미공원↔대이동굴을 60분 간격으로, 임시주차장↔대이동굴은 15분 간격으로 운행해 혼잡을 막는다.
주말인 18∼19일에는 장미공원↔대이동굴을 30분 간격으로 단축하고, 임시주차장↔대이동굴은 25인승 3대를 15분 간격 순환으로 돌려 가족·고령층 이동 부담을 대폭 낮춘다.
도계장터↔대이동굴 노선도 주말에는 25인승 1대가 90분 간격으로 연결한다.
대이동굴에서는 실감 미디어 기반 멀티미디어 주제관, 동굴 영상관, 인공암벽 등반, 화석·싱크홀·석회동굴 VR 등 학습형 체험이 상시 운영된다.
장미공원은 낮 공연 특화 무대로 18일 정오에는 곤충박사 정브르의 토크콘서트, 19일 정오에는 '춤추는 곰돌' 랜덤플레이댄스가 열려 참여형 프로그램의 재미를 더한다.
도계장터 야외무대는 지역성과 현장성을 살려 지역예술 공연과 품바 한마당이 더해져 생활권 축제의 온기를 전한다.
축하공연에서는 17일 김다현, 18일 조째즈와 정서주, 19일 배기성에 이이 정수라가 피날레를 장식한다.
시는 가족 단위라면 오전 장미공원 체험과 도심 공연을 즐기고, 정오 전후 셔틀을 타고 대이동굴로 이동하면 오후 메인 라인업과 '댄스파티'를 무리 없이 소화할 수 있다고 추천한다.
도계권 관람객은 장날·플리마켓 시간대 공연을 본 뒤 90분 간격 셔틀로 메인 무대에 합류하면 동선 낭비가 없다.
김정영 관광정책과장은 14일 "세 무대가 각기 다른 시간대와 관객군을 품으며 하루를 하나의 서사처럼 흐르게 설계한 점이 올해 축제의 진화이자, 체류 시간을 늘려 지역 상권과 관광의 선순환을 만드는 운영 설계"라고 밝혔다.
yoo21@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