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문식 올림픽대표팀 수석코치(45)가 추락하는 대전의 소방수로 낙점됐다.
1989년 포항에서 프로에 데뷔했던 최 감독은 현역 시절 국내 최고의 테크니션으로 평가받았다. 특히 '악바리'로 유명했다. 작은 키와 다소 느린 스피드로 프로 세계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방법을 끊임없이 연구했다. 그라운드 위에서 펼쳐질 모든 상황을 그림으로 그려 플레이로 실현했다는 내용은 아직도 축구계에서 회자된다. 최 감독은 A대표팀에서도 최고의 플레이메이커로 활약했다. 1992년 바르셀로나올림픽을 비롯해 1994년 미국월드컵, 히로시마아시안게임 등 메이저대회를 모두 경험했다. 이후 최 감독은 전남(1999~2000년), 수원과 일본 J리그 오이타 트리나드(이상 2011년)를 거쳐 2002년 부천SK 유니폼을 입고 현역에서 은퇴했다.
그렇다면 최 감독이 이끌 대전은 어떻게 변할까. 단기간 성과를 기대하긴 어렵다. 지도자가 한 팀의 수장이 돼 자신의 색깔을 내기 위해선 최소한 2년 정도 걸린다. 그러나 상황은 급하다. 대전은 1승2무8패(승점 5)를 기록, 리그 꼴찌에 처져있다. 11위 부산(승점 11)과도 승점차가 6점이나 벌어져 있다. 강등을 피하기 위해선 최 감독도 결과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가장 먼저 신경쓸 부분은 다양한 득점루트 마련이다. 올 시즌 대전은 외국인 공격수 아드리아노에게 의존하는 모습이 짙었다. 아드리아노에게 득점 찬스를 몰아주는 것이 팀의 유일한 공격루트였다. 그러나 단순한 공격 전술이 상대 팀에 간파되면서 골 가뭄에 허덕이고 있다. 최 감독은 조직력을 끌어올려 끈끈한 팀으로 바꿔 놓겠다는 전략이다.
가용할 자원이 많지 않다는 것은 최 수석코치의 고민을 가중시킨다. 현재 대전은 윤원일 이강진 이광훈 이현호 황지웅 윤준성 김다솔 사싸 등 12명의 즉시 전력감들이 줄줄이 부상자 명단에 올라있다. 이번 시즌 베스트 11이 단 한 경기도 호흡을 맞춘 적이 없을 정도다. 결국 최 감독은 활용할 수 있는 선수들의 간절함과 하고자 하는 의지를 이끌어내 모래알같던 조직력을 향상시켜 반전을 이루겠다는 청사진을 그리고 있다.
최 감독의 축구 철학은 '재미있는 축구'다. 축구가 재미있어야 보는 팬들도 다시 경기장을 찾는다는 가장 기본적인 논리를 잘 알고 있다. 지난 11경기까지 대전은 공수 양면에서 투박했다. 그러나 최 감독은 테크니션답게 팀에 섬세함을 불어넣을 전망이다. 서서히 변화하는 대전을 꿈꾸고 있다.
'최문식 매직'이 시작된다.
김진회기자 manu35@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