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 아니면 도다."
지난 2000년 일본 J리그 빗셀 고베에서 전북으로 돌아왔을 때다. '선수' 김도훈은 프로 데뷔를 시작한 전북을 위해 너무 큰 복귀 선물을 안겼다.
성남 일화와의 FA컵 결승. 당시 전북은 1999년 성남과 FA컵 결승에서 만났다가 0대3으로 대패했던 터라 복수전을 단단히 벼르고 있었다.
이처럼 김 감독은 FA 역사에서 명승부로 기록된 한 페이지를 장식하는 주인공이다. 이제는 감독으로서 새로운 한 페이지를 장식하기 위해 이를 악물었다.
22일 제주월드컵경기장에서 제주와의 FA컵 8강전을 앞둔 김 감독은 "이왕 여기까지 왔는데 우승까지 도전해보고 싶다"고 말했다.
올 시즌 K리그 클래식에서 상위 스플릿에 근접한 것만으로도 대성공이라는 평가를 받는 인천이다. 고질적인 재정난으로 인해 선수들 급여가 제때 지급되지 않는 등 안팎의 열악한 상황을 돌아보면 더욱 그렇다.
그런 인천이 FA컵 우승까지 넘본다는 게 무리일 수 있다. 하지만 김 감독에게는 '모 아니면 도'라는 심정으로 달려들고 싶은 이유가 있다.
구단의 어려운 사정을 헤쳐나가는데 작은 돌파구라도 만들어주고 싶어서다. 현재 인천 구단은 두 차례의 대표이사 공모에서 적임자를 찾지 못했다.
응급조치로 외부 전문가를 단장으로 영입해 비상체제를 가동하기로 했다. '황금 송아지'는 아니더라도 체불위기라도 해결할 수 있는 대표가 등장하기를 학수고대하는 인천 구단이다.
그렇다고 입만 벌리고 있어서는 안된다. 무엇으로든 인천 구단에 투자하고 싶은 마음이 생기도록 매력을 보여줘야 한다.
당장 효과를 보여줄 수 있는 게 FA컵이다. 인천이 제주를 물리치고 준결승에 진출한다면 구단 역사상 2007년 이후 8년 만의 쾌거를 이루게 된다.
때마침 제주와의 8강전이 열리는 22일은 비상체제를 총괄 책임질 신임 정의석 단장이 첫 출근하는 날이다. 김 감독은 이달 말 마감을 앞둔 여름 이적시장에서 선수보강에 대한 희망을 아직 버리지 못하고 있다.
올 시즌 리그에서 지금까지 잘 버텨왔으니 '기름칠'을 조금만 해주면 하반기 약진을 기대할 수 있다는 게 김 감독의 바람이다.
이런 바람에 빠르게 근접하기에 FA컵은 좋은 무대다. 공교롭게도 김 감독이 지난 2000년 전북을 우승으로 이끌었던 장소가 제주였다. 김 감독에게는 제주가 '약속의 땅'인 셈이다.
"지금 형편이 어렵다고 낙담할게 아니라 뭔가 성과를 이뤄놔야 나중에 떳떳하게 요구할 수 있지 않겠나." 김 감독이 FA컵에서도 성공하고 싶은 또다른 이유다.
최만식 기자 cms@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