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 아이파크의 박진섭 수석코치(38)가 부산을 떠났다.
이로써 부산 코칭스태프에는 부산에서 뛰었던 인물이 한 명도 남지 않게 됐다. 박 코치는 2009∼2010년 부산에서 뛰었다. 2012년 울산현대미포조선에서 은퇴한 뒤 2013년 부산 구단의 U-18 유스팀인 개성고 감독을 맡으면서 부산과 다시 인연을 맺었다. 개성고에서 고교축구 강호의 옛명성을 회복하며 지도력을 인정받은 박 코치는 지난 7월 데니스 감독대행이 부임하면서 수석코치로 올라왔다.
박 코치가 개성고를 떠나자 축구부 학부모와 학교 측은 박 코치를 다시 보내달라고 구단을 향해 강력하게 항의성 호소를 한 적이 있었다. 그만큼 박 코치는 개성고 축구선수·부모들로부터 두터운 신임을 받았다.
지난 10월 부임한 최영준 감독(50)은 별다른 코치진 개편 없이 남은 시즌을 이끌었다. 시즌이 저물어가는 시점에 갑작스러운 변화가 큰 도움이 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했다.
하지만 챌린지로 내려앉아 새출발을 해야 하는 상황에서 분위기 쇄신이 필요하다. 대다수 프로팀들이 그렇게 하듯이 감독과 호흡이 맞는 코치진을 구성한다.
최 감독이 몸담았던 제주 유나이티드 출신 코치들이 '최영준 사단'을 형성할 것으로 알려졌다.
유력한 후보자가 이충호 전 강원FC 코치(47)다. 이 전 코치는 제주의 전신인 부천 SK의 트레이너로 시작(1999년)해 SK 코치, 대한축구협회 전임지도자, 천안시청 코치를 거쳐 2009∼2013년 제주 GK 코치로 일했다. 이후 강원FC에서 2014년 한 시즌을 보낸 뒤 재충전 시간을 갖고 있다.
이 전 코치 외에 다른 지도자 1∼2명도 최 감독과의 재결합을 준비중인 것으로 전해진다. 이들은 모두 과거 제주에서 최 감독과 함께 코칭스태프를 구성했던 인물이라고 한다.
다만 부산이 챌린지로 강등한 것이 변수다. 코칭스태프 개편 폭이 당초 계획보다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
박 코치는 8일 부산 구단 사무실을 방문해 작별인사를 하고 떠났다. 클래식으로 재입성, 절체절명의 과제를 안은 부산이 위로부터 체질 개선에 착수할 것이란 신호이기도 하다.
최만식 기자 cms@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