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존의 한-일전과는 완전히 다른 전반전이었다.
그간 한-일전하면 한국은 과감한 몸싸움을 바탕으로 한 선이 굵은 축구를, 일본은 기술을 앞세운 아기자기한 축구를 펼쳤다. 이날은 달랐다. 정반대였다. 한국이 기술적인 축구를, 일본이 투지 넘치는 축구를 했다. 결과는 한국의 우세였다. 한국의 개인기가 월등했다. 한국은 30일 오후 11시 30분(한국시각) 카타르 도하 압둘라 빈 칼리파 스타디움에서 벌어진 일본과의 아시아축구연맹(AFC) 23세 이하(U-23) 챔피언십 겸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올림픽 아시아지역 최종예선 결승전 전반전을 1-0으로 앞섰다.
경기는 초반부터 불꽃이 튀었다. 한국과 일본 모두 공격적으로 임했다. 이내 한국이 주도권을 잡았다. 미드필드에서 일본을 압도했다. 한국이 개인기로 일본의 수비를 밀어붙였다. 좁은 공간을 벗기고 나오자 일본은 당황한 기세가 역력했다. 6분 류승우와 11분 권창훈이 연속해서 일본의 골망을 열었지만 오프사이드로 무산됐다. 하지만 한국의 젊은 선수들은 기세가 오를대로 올랐다. 19분 기어코 선제골을 넣었다. 심상민이 왼쪽에서 올려준 볼을 진성욱이 헤딩으로 연결하자 권창훈이 오른발 발리슈팅으로 연결했다. 이 볼은 이와나미의 발에 맞고 굴절되며 일본의 골망을 흔들었다.
이후에도 한국은 계속해서 일본을 밀어붙였다. 35분에는 진성욱의 슈팅이 빗나간 것이 아쉬웠다. 일본은 측면 돌파를 시도했지만 한국은 일본의 패턴에 준비를 잘한 모습이었다. 적절한 협력 플레이로 잘 막아냈다. 이제 45분이 남았다. 전반 오버페이스한 느낌도 조금은 있었다. 요르단전 교훈을 떠올릴 필요가 있다. 마지막 45분이다. 유종의 미를 기대한다.
박찬준 기자 vanbasten@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