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울산 현대 몰락의 최대 원인은 수비였다.
울산에서 부활이 시작됐다. 2011년 김호곤 전 감독의 부름을 받아 울산에 입단한 강민수는 곧바로 주축 수비수로 자리를 잡았고 이듬해 아시아챔피언스리그(ACL) 우승, 2013년 클래식 2위에 오르는 한 축 역할을 했다. 1m86의 체격에 빠른 발과 중앙, 측면을 가리지 않는 넓은 활동 반경이 강점으로 꼽혔다. 2014년 상무 입대 뒤 상주 유니폼을 갈아입고 뛴 2년 간 주전 수비수로 활약하며 기량에 물이 올랐다는 평가를 받았다.
강민수는 울산의 최대 약점 중 하나였던 '느린 센터백' 문제를 해결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윤 감독은 지난해 김치곤 김근환 이재성 유준수 정승현을 로테이션으로 가동했다. 하지만 확실한 주전을 찾지 못했고 상대 수비 뒷 공간 공략에도 문제점을 노출하며 실점이 이어졌다. 올 시즌 울산은 김근환이 수원FC로 이적하고 유준수는 원 포지션인 원톱 자리로 복귀했다. 파워 넘치는 플레이를 펼치는 김치곤 이재성의 경쟁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강민수는 이들과 호흡을 맞춰 상대 볼 흐름을 읽고 차단하면서 빌드업까지 책임지는 전방위 센터백 역할을 맡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박상경 기자 ppark@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