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결국 이변은 허락되지 않았다.
인판티노 회장은 비리 혐의로 자격정지 징계를 받은 미셸 플라티니 UEFA 회장을 대신해 FIFA 회장 선거에 뛰어들었다. 플라티니 회장의 영향력은 자신의 오른팔인 인판티노를 FIFA 회장에 올려놓을 정도로 막강했다. 유럽은 물론 남미와 북중미가 인판티노 회장에게 줄을 섰고, 셰이크 살만 회장의 지지를 선언한 아프리카 표도 흡수했다. 인판티노 회장은 당선 기자회견에서 "플라티니 회장의 지원에 감사하다"는 말도 잊지 않았다.
우여곡절 끝에 제프 블래터 시대는 막을 내렸고, 인판티노의 시대가 열렸다. 이탈리아계 스위스 변호사인 인판티노 회장은 4개국어(영어·프랑스어·독일어·스페인어)에 능통하다. 그는 2026년까지 월드컵 본선 참가국 수를 32개국에서 40개국으로 확대하겠다고 공약했다. 또 '부의 재분배'를 통한 상생도 내걸었다. FIFA 회원국에 매년 500만달러(약 62억원), 대륙별 연맹에는 4000만달러(약 494억원)씩 지원하겠다고 했다. 선심성 공약이라는 비난도 받았지만 FIFA 회장 당선으로 현실이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한국 축구의 외교력도 또 다시 시험대에 올랐다. 정몽규 대한축구협회장(54)은 셰이크 살만 회장을 지지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시아의 의리'를 저버릴 수 없었던 것으로 관측된다. 그렇다고 숨어 있을 이유는 없다. '탕평책'을 내세운 인판티노 회장도 수긍할 수밖에 없는 '선거 구도'다. 특히 그는 유럽 출신이 FIFA 회장을 독식한다는 일부의 시선을 의식해 "내가 회장이 된 만큼 사무총장은 비유럽 출신 인물로 뽑겠다. 지역 균형을 맞춰 업무를 수행하겠다"고 강조했다.
새 시대, 한국 축구가 걸어가야 할 길은 더 명확해졌다. 탈출구도 마련됐다. FIFA 회장 선거 직전에는 개혁안이 통과됐다. 회장의 임기는 최대 12년으로 제한됐다. 또 부패의 온상으로 비판을 받아온 '절대 권력'인 집행위원회도 폐지된다. 대신 FIFA 총회의 투표를 통해 선출되는 36명이 참여하는 협의회를 도입하기로 했다. 통과된 개혁안은 4월 26일 첫 발을 내딛는다.
정 회장은 지난해 4월 아시아 몫의 FIFA 집행위원에 도전장을 냈다. 그러나 눈물이었다. 중동이 중심인 '거대한 카르텔'의 유혹이 있었지만 합종연횡을 거부했고, 끝내 고배를 마셨다.
FIFA 집행위원회 폐지는 전화위복이다. 인판티노의 시대, 한국 축구의 위상도 재정립해야 한다. 정 회장은 국제 축구계에서 개혁 성향이 강한 인물로 꼽히고 있다. '실리 외교'를 통해 한국 축구의 새 길을 모색해야 한다. 36명의 협의회에 정 회장도 당당히 도전장을 내야 한다.
한국 축구는 2011년 1월 정몽준 대한축구협회 명예회장이 FIFA 부회장 선거에서 5선에 실패하면서 '외교 암흑기'를 맞았다. 어느덧 5년이라는 시간이 흘렀다. 2013년 제52대 대한축구협회장에 당선된 정 회장은 국제 축구계에서 외연을 넓히고 있다. 한국 축구의 외교력 회복은 선택이 아닌 필수다. 정 회장이 그 시계를 되돌려 놓기를 바란다.
스포츠 2팀 기자 newsme@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