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를 거듭할수록 강해지고 있다.
핵심은 '원팀'이다. 울산 선수단은 상주전을 마친 뒤 자체 미팅을 가졌다. 수비수 강민수가 나서서 분발을 촉구했다. 주장 김태환이 짊어진 짐을 나눔과 동시에 처진 분위기를 전환하기 위한 특단의 조치였다. 군 제대 후 팀에 합류한 지 얼마 되지 않은 강민수지만 2012년 아시아챔피언스리그(ACL) 우승에 일조한 그의 존재감은 남다르다. 울산 구단 관계자는 "상주전 뒤부터 선수들이 훈련이나 경기를 준비하는 자세가 달라졌다"고 흐뭇한 미소를 지었다.
윤정환 감독의 과감한 결단도 한몫을 했다. 윤 감독은 상주전에서 이정협을 원톱 자리에 두고 코바와 서정진 김인성에게 2선을 맡겼다. 하지만 상주전 뒤부터 서정진 김인성 대신 쾌조의 몸상태를 보인 김승준 한상운을 중용하면서 돌파구를 찾았다. 제대 후 잔부상을 안고 있었던 한상운과 지난 시즌부터 가능성을 보였던 김승준 모두 울산 2선 공격라인에 활력을 불어 넣으면서 무패 행진을 이끌어가고 있다. 수원 삼성에서 임데려온 서정진과 측면 보강을 위해 영입한 김인성을 제외하는 강수를 두면서 택한 변화는 성공적이었다.
관건은 '초심'이다. 지난 시즌의 악몽이 반면교사다. FC서울과 포항을 연파하며 일약 우승후보로 떠올랐던 울산은 4월 중반부터 무너지기 시작해 결국 스플릿 그룹B행에 그쳤다. 무패 과정에서 쌓인 자신감이 독이 됐다. 현재의 울산도 공격력은 막강하지만 수비라인에서는 이따금 문제가 드러나고 있다. 부상, 징계 등 그라운드에 도사리고 있는 시한폭탄은 언제 터질 지 모른다. 시즌을 준비하면서 강조했던 '도전자의 정신'을 잊는다면 지난 시즌의 악몽은 충분히 재현될 수 있다.
박상경 기자 ppark@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