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원의 센터서클]유럽 원정의 교훈, 이게 한국 축구 수준이다

기사입력 2016-06-06 20:34


◇곽태휘(왼쪽)가 5일(한국시각) 프라하의 에덴아레나에서 열린 체코와의 평가전에서 상대 공격수와 볼을 다투고 있다. 프라하(체코)=ⓒAFPBBNews = News1

그라운드는 늘 희비가 교차하지만 2015년 슈틸리케호는 눈물을 몰랐다.

16승3무1패, 무결점 질주였다. '참사', '쇼크' 등 아픔의 단어가 자취를 감췄다. 그러나 마냥 웃을 수만은 없었다. 일정상 불가피했지만 한국보다 국제축구연맹(FIFA) 랭킹이 높은 팀과 충돌한 적이 단 한 차례도 없었다. 필자는 지난해 11월 19일 칼럼에서 '2015년은 잊을 수 있으면 빨리 잊어야 한다'고 했다.

2016년, 기다리고 기다린 그 순간이 훌쩍 흘러갔다. 울리 슈틸리케 A대표팀 감독이 지휘봉을 잡은 후 첫 유럽 원정이 막을 내렸다. FIFA 랭킹 6위 스페인, 30위 체코와의 2연전이었다. FIFA 랭킹 50위 한국 축구가 직면한 현실은 전혀 다른 세계였다. 출발은 참담했다. 1일(이하 한국시각) 스페인전에서 1대6으로 완패하며 지나간 날들의 환희는 온데간데없이 사라졌다. 한국 축구가 할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었다. 갖고 있는, 아니 믿고 있는 기량의 반의 반도 표출하지 못했다.

체코전은 또 다른 두려움이었다. 만에 하나 참패가 재연될 경우 슈틸리케호는 시계제로인 어둠의 바다에서 표류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다행히 96시간 만의 극적인 반전으로 한 숨을 돌렸다. 한국은 5일 체코 프라하 에덴아레나에서 열린 체코와의 유럽 원정 두 번째 평가전에서 2대1로 승리했다.

체코와의 A매치 첫 승이었다. 2001년 8월 15일, 거스 히딩크 감독 시절 0대5 대패의 악몽을 훌훌 털어버리며 3무1패 뒤 첫 승을 챙겼다. 결승골을 터트린 석현준(24·FC포르투)의 붕대투혼, 선제골을 작렬시킨 윤빛가람(26·옌벤)의 재발견, '최고참' 곽태휘(35·알 힐랄)의 솔선수범, 수문장 정성룡(30·가와사키)의 몸을 던진 선방쇼 등으로 시계를 다시 돌려놓았다.

다만 체코전에도 아쉬움이 있었다. 체코는 후반 14분 셀라시가 경고 2회로 퇴장당했다. 11대10의 싸움이었다. 그러나 수적 우위를 느끼지 못할 정도로 대응 능력은 떨어졌다. 공격은 적극성이 부족했고, 체코의 거친 공세를 수비하기에 급급했다. 결국 축구는 공간 싸움이다. 공간을 열어야 볼이 연결된다. 빈공간을 창출하는 것은 선수들의 몫이지만 몸은 천근만근이었다. 볼이 갈 곳은 없었다.

세계 축구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이유는 하나다. 승리하기 위한 탈출구를 연구하고 또 연구한다. 그래야 발전이 있다. 그러나 슈틸리케호는 아시아의 덫에 갇혀있다. 아시아라는 현실을 부정할 수 없지만 지나치게 안주하지 않았나하는 생각이 든다.

유럽 원정의 교훈은 컸다. 실패를 두려워해서는 안된다. 실보다 득이 많았다. 스페인전도, 체코전도 한국 축구였다. "이런 기회가 좀 더 자주 있어야 우리가 발전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슈틸리케 감독도 뼈저리게 느꼈다.


유럽 원정 2연전을 통해 고정관념도 깼으면 한다. '선수는 경기를 뛰어야 한다', 만고의 진리였다. 물론 이름값을 간과할 수는 없다. 하지만 객관적인 데이터를 상위개념으로 삼아야 한다. 스페인전에서 눈에 뛴 선수는 주세종(26·서울) 이재성(24·전북), 둘 뿐이었다. 천하의 유럽파라고 해도 경기에 서지 않는 순간 그 가치는 사라진다. 우리가 알던 손흥민(24·토트넘)의 활약이 명성과 달랐던 점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그는 2015~2016시즌 후반부에 경기를 뛰는 시간보다 벤치를 지키는 시간이 더 많았다.

이제 2018년 러시아월드컵 아시아지역 최종예선이 기다리고 있다. 9회 연속 월드컵 출전에 도전하는 슈틸리케호는 9월 1일 첫 걸음을 내딛는다. 슈틸리케 감독은 "체코전 승리는 선수들이 열심히 뛴 결과다. 스페인전 패배 후 정신적인 극복이 중요했다. 다행히 100% 정신적 재무장을 보여줬다"며 "중요한 승리였다. 체코전에서 안 좋았다면 3개월 뒤 최종예선에서 어려웠을 것"이라고 했다.

스페인과 체코전을 통해 최종예선은 새로운 그림을 그렸으면 한다. 사실 라오스(174위), 미얀마(161위), 레바논(151위) 등과 만난 2차예선은 리허설에 불과하다. 최종예선은 차원이 다른 무대다. 슈틸리케호는 이란(39위), 우즈베키스탄(66위), 중국(81위), 카타르(84위), 시리아(101위)와 맞닥뜨린다.

2006년 독일, 2010년 남아공, 2014년 브라질월드컵, 쉬운 최종예선은 단 한번도 없었다. 슈틸리케호도 정신 무장을 새롭게 해야 한다. 특히 9월의 경우 추춘제로 리그가 운영되는 유럽과 중동파의 컨디션이 썩 좋지 못하다. 대표팀은 늘 그렇듯 허락된 시간이 짧다. 그래도 최상의 성과를 내야 한다.

슈틸리케 감독의 선수 운용이 더 탄력적으로 이루어졌으면 한다. 또 최종예선에서도 늘 스페인과 체코전을 떠올리기를 바란다. 슈틸리케호가 지향해야 할 무대는 아시아가 아니라는 점도 잊지 않아야 한다. 클래스가 다른 진화하는 축구를 선보여야 고개를 쉽게 넘어갈 수 있다. 유럽 원정이 슈틸리케호에 던져준 숙제다.
스포츠 2팀 기자 newsme@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