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죄책감을 안 느낄 수가 없었다."
윤보상은 당시 실점 상황에 대해 "첫 번째 실점에선 상대가 워낙 좋은 슈팅을 했다. 수비수에 가려 공이 잘 보이지도 않았다"며 "두 번째 실점에선 살짝 역동작에 걸렸다. 잔디 상태가 좋았다면 미끄러지지 않고 제대로 막을 수 있었는데, 잔디가 많이 파이면서 힘을 받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도 "다 변명이다. 내가 더 뛰어난 선수였다면 막아낼 수 있었을 것"이라고 했다.
아쉬움의 무게에 눌려 주저앉아 있을 수만은 없다. 지나간 것은 지나간대로 의미가 있다고 하지 않았던가. 새로 다가올 것들을 위해 훌훌 털고 일어섰다. 윤보상은 "이 모든 것이 골키퍼의 숙명이다. 이런 부담감을 이겨내기 위해 더 많이 뛰고, 땀을 흘린다"며 "비록 그룹B지만 리그가 끝난 게 아니다. 이제 잔류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새로운 마음으로 최선을 다 해야 한다"고 힘주어 말했다.
재충전을 마친 윤보상. 이제 앞만 보고 달릴 일만 남았다. 윤보상은 "뼈 아픈 일들이지만 모두 지나간 과거다. 얽매이면 안 된다"며 "실점을 밑거름 삼아 더 발전된 모습을 팬들께 보여드려야 한다. 그것만이 나에게 기회를 준 광주에도 보답하고 헌신하는 길"이라며 입술을 깨물었다.
임정택 기자 lim1st@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