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침대 축구'에 대비, 이른 시간 선제골이 터지기를 바랐다.
슈틸리케호가 6일 수원월드컵경기장에서 벌어지고 있는 카타르와의 2018년 러시아월드컵 아시아지역 최종예선 A조 3차전에서 전반을 1-2로 뒤진 채 마쳤다. 울리 슈틸리케 A대표팀 감독은 카타르의 밀집수비를 뚫기 위해 4-1-4-1 시스템을 꺼내들었다. 원톱에는 석현준(트라브존스포르)이 포진한 가운데 2선에도 유럽파가 총출동했다. 손흥민 기성용 구자철 지동원(이상 아우크스부르크)이 위치했다. 수비형 미드필더에는 정우영(충칭 리판)이 섰다.
포백에는 홍 철(수원) 홍정호 김기희(상하이 선화) 장현수(광저우 부리)가 포진했고, 골문은 김승규(일본 빗셀 고베)가 지켰다. 카타르는 예상대로 뒷문을 굳게 잠궜다. 3-5-2 시스템으로 맞불을 놓았다. 소리아와 칼리드를 제외한 그 외 선수들은 수비에 치중했다.
지나치게 측면만 고집하다보니 상대 수비도 대처가 용이했다. 단순한 패턴이 화근이었다. 측면을 뚫더라도 중앙은 늘 수적 열세에 놓였다. 손흥민의 감각을 활용하기에는 아쉬운 전술이었다. 개인기도 빛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청용(크리스탈팰리스)의 공백도 느껴졌다. 지동원보다 먼저 출격시켰 하는 아쉬움이 있었다.
홍정호와 김기희가 포진한 중앙 수비는 불안했다. 홍 철도 공격 가담은 좋았지만 수비에선 허점을 노출했다.
후반 45분이 남았다. 이대로면 9회 연속 월드컵 본선 진출이 허공으로 날아갈 수 있다.
아시아지역 최종예선은 12개팀이 6개팀씩 A와 B조로 나뉘었다. 각 조 1, 2위가 본선에 직행하고, 3위는 플레이오프와 대륙별 플레이오프를 거친 후 최후의 운명이 결정된다. 1승1무(승점 4·골득실 +1)인 한국은 우즈베키스탄(승점 6·2승), 이란(승점 4·1승1무·골득실 +2)에 이어 3위에 위치했다.
수원=김성원 기자 newsme@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