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이란전 4연패보다 우려되는 '자신감 저하'

기사입력 2016-10-12 09:26



패배보다 무서운 것은 두려움이다.

'공한증'이라는 말이 있다. 한국만 만나면 움츠러드는 중국의 증상을 뜻한다. 물론 전력차는 감안해야 한다. 결과도 중요하다. 하지만 축구에서 기세가 차지하는 비중은 꽤 크다.

중국은 11일(이하 한국시각) 우즈베키스탄과의 2018년 러시아월드컵 아시아지역 최종예선 4차전에서 0대2로 패했다. 중국은 1무3패, 승점 1점으로 A조 최하위인 6위로 추락했다. 경기 후 가오홍보 감독도 물러났다.

하지만 시간을 조금 되돌려 보자. 지난달 1일. 한국과 중국의 최종예선 1차전이 벌어졌다. 슈틸리케호가 3대2로 이겼다. 결과는 승리였다. 하지만 과정엔 물음표가 붙었다. 공한증의 의미가 옅어졌다. 중국의 현주소는 최악이다. 그러나 적어도 한국전 당시 중국은 제법 매서웠다. '할 수 있다'는 도전 의식이 느껴졌다.

슈틸리케호는 11일 이란 테헤란의 아자디스타디움에서 이란과 최종예선 4차전을 치렀다. 0대1로 패했다. 이로써 최근 이란전 4연패에 빠졌다. 역대 이란 원정 전적도 2무5패가 됐다. 최초 이란 원정 첫 승 꿈이 무산됐다.

이란 원정은 항상 어려웠다. 그럴 수 밖에 없다. 장거리 비행, 시차 적응, 텃세, 고지대, 열광적인 홈 열기 등 일일이 나열하기 힘들 정도로 악조건이 많다. 그래서 지금까지 2무4패였다. 이번에 1패가 늘어 2무5패.

하지만 이번 패배는 이전과는 다른 느낌이다. 이란전을 치르기 전 선수들 사이에서 가장 많이 나왔던 말은 "지금까지 경기력은 좋았지만 우리가 득점하지 못했고 막판에 실점을 해서 패했다"였다. 그래서 선수들은 강한 정신력과 끈기를 약속했다.

하지만 이날 A대표팀은 무기력했다. 이란의 강한 압박에 활로를 찾지 못했다. 중원은 잠식됐고 공격은 무뎠다. 버텨야 할 상황에서 쓰러졌다. 앞으로 뻗어야 할 공은 뒤로 돌아갔다. 그리고 이전과 가장 달랐던 부분은 실수 후 고개를 숙이는 장면들이 자주 나왔다는 점이다. 공을 빼앗기거나 패스 미스를 했을 때 자책하듯 고개를 숙이는 경우가 잦았다. 이는 자신감 저하를 나타내는 명확한 신호다. 그라운드의 이란 선수 11명이 봤고, 8만여 이란 관중들이 목격했다. 상황이 이러한데 주도권을 되찾길 바라는 건 과욕이다.


선수들도 인정했다. 손흥민(24·토트넘)은 "초반에 경기운영을 못해 선수들의 자신감이 많이 떨어졌다. 이란전은 항상 쉽지 않기 때문에 자신감이 중요했다. 하지만 의기소침한 플레이를 해 아쉽다"고 했다. 기성용(27·스완지시티)도 "선수들의 자신감이 많이 떨어졌다. 아쉽지만 실력 발휘를 제대로 못했던 것은 우리가 반성해야 한다"며 "이란에 비해 경기 운영이 부족했다"고 말했다.

공한증이라는 말로 중국을 낮춰 봤던 한국이다. 이란은 한국을 어떻게 바라볼까.


테헤란(이란)=임정택 기자 lim1st@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