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스포츠조선 윤진만 기자]11일 오후 제주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하나원큐 K리그1 2023' 22라운드를 앞둔 남기일 제주 감독과 이정효 광주 감독은 사뭇 다른 기운을 풍겼다. 남 감독과 이 감독은 성남 시절부터 광주, 제주를 거치며 감독과 수석코치로 오랜 인연을 맺은 사이. 하지만 표정부터 말투, 경기를 대하는 자세까지 뭣하나 닮은 구석이 없었다.
제주가 초반부터 강하게 몰아붙였다. 하지만 미드필더 김봉수의 연이은 슛이 계속해서 골문을 빗겼다. 슈팅 12개 중 유효슛은 한 개도 없었다. 문전 앞에서 슛을 쏠 때 자신감이 떨어지는 모습이었다. 후반 5분 서진수가 일대일 기회를 날렸다. 헤이스의 슛은 골대를 빗나갔다. 광주는 후반 이희균 김한길, 여기에 영입생 베카까지 투입하며 추격의 고삐를 당겼다. 기술지역에 있는 이 감독의 목소리가 높아지는 걸 보면 경기가 뜻대로 풀리지 않는 것만은 분명해 보였다. 남 감독은 조용히 고개를 저었다. 후반 31분 베카의 중거리 슛은 골키퍼 정면으로 향했다. 주중 경기다 보니, 시간이 흐를수록 선수들의 발걸음은 더뎌졌다. 이날은 지난 강원-광주전과 달리 논란이 될만한 이슈도, 매너볼 논란도, 양팀 감독이 간절히 기다리던 골 없이 조용히 끝났다.
제주=윤진만 기자 yoonjinman@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