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항저우현장]'골골골골골+골골' 학범슨에게 황의조가 있었다면, 황새에겐 정우영이 있다…결승행 '하드캐리'

윤진만 기자

기사입력 2023-10-04 22:51 | 최종수정 2023-10-04 22:55


[항저우현장]'골골골골골+골골' 학범슨에게 황의조가 있었다면, 황새에겐 …
4일 중국 항저우 황룽스포츠센터스타디움에서 대한민국 축구대표팀과 우즈베키스탄의 준결승전 경기가 열렸다. 전반 이른시간 정우영이 선취골을 기록했다. 세리머니를 선보이는 정우영. 항저우(중국)=송정헌 기자songs@sportschosun.com/2023.10.04/

[항저우(중국)=스포츠조선 윤진만 기자]'지금 몇시지? 결승 갈 시간!'

황선홍호 승부사 정우영(24·슈투트가르트)은 골을 넣으면 늘 손목시계를 보는 시늉을 한다. 다른 한 손 검지는 관자놀이에 갖다댄다. 시계를 보면서 무언가 골똘히 생각하는 새로운 시그니처 세리머니다. 주로 동갑내기인 윙어 엄원상(24·울산)과 나란히 서서 카메라를 보며 이같은 세리머니를 펼친다. 귀여움이 '뿜뿜' 묻어난다.

지난달 19일 쿠웨이트와 항저우아시안게임 조별리그 첫 경기에서 첫 골을 넣고 '시계 세리머니'를 펼치는 모습을 본 이들은 정우영이 그 후에 6번이나 더 '시계 세리머니'를 펼치리라고는 예상치 못했을 것이다. 하지만 정우영은 5년 전 대선배 황의조(31·노리치시티)가 9골을 넣으며 자카르타-팔렘방대회에서 금메달 주역이 된 것처럼, '하드캐리'하며 팀을 결승까지 끌고 갔다.

정우영이 또 한번 비상했다. 4일 중국 저장성 항저우의 황룽스포츠센터스타디움에서 열린 우즈베키스탄과 항저우아시안게임 준결승에서 전반 5분만에 선제골을 갈랐다. 이번대회에서 가장 좋은 호흡을 보이는 '세리머니 파트너' 엄원상의 크로스를 문전 앞에서 침착하게 밀어넣었다. 이번 대회 들어 늘 시작은 정우영이었다. 조별리그 첫 경기 쿠웨이트전에서 전반 3분 선제골을 넣었고, 키르기스스탄과 16강전에선 전반 12분 2번째 골을 넣으며 팀 승리에 기여했다. 총 7골을 넣으며 대회 득점 선두를 달리는 정우영은 7골 중 5골을 전반에 넣었다. 정우영의 득점 덕에 황선홍 감독은 후반에 경기를 쉽게 풀어갈 수 있었다.

한국은 전반 26분 얄로리딘노프에게 프리킥으로 동점골을 내줬다. 우즈베키스탄 선수들은 돌아가며 팔꿈치를 사용해 이강인 등 한국 선수들의 명치, 턱 등을 가격했다. 공과 상관이 없는 지점에서도 서슴없이 파울을 범했다. 후반전엔 거친 백태클로 엄원상에게 부상을 입혔다. 다리를 절뚝이던 엄원상은 결국 교체돼 나왔다.

전반 동점을 허용한 뒤 경기장 분위기가 확 바뀌었다. 관중석에 있는 우즈베키스탄 팬들은 목청껏 우즈베키스탄을 응원하고 휘파람을 불었다. 전반을 1-1 동점으로 끝낼 경우, 후반전에 경기를 풀어가기가 어려울 수 있었다. 황선홍 감독은 가뜩이나 이강인 정우영 엄원상 홍현석(헨트) 등 주전급 자원을 선발로 총투입했다. 후반전 반전카드가 많지 않았다.


[항저우현장]'골골골골골+골골' 학범슨에게 황의조가 있었다면, 황새에겐 …
4일 중국 항저우 황룽스포츠센터스타디움에서 대한민국 축구대표팀과 우즈베키스탄의 준결승전 경기가 열렸다. 슈팅을 시도하고 있는 정우영. 항저우(중국)=송정헌 기자songs@sportschosun.com/2023.10.04/

[항저우현장]'골골골골골+골골' 학범슨에게 황의조가 있었다면, 황새에겐 …
연합뉴스

[항저우현장]'골골골골골+골골' 학범슨에게 황의조가 있었다면, 황새에겐 …
4일 중국 항저우 황룽스포츠센터스타디움에서 대한민국 축구대표팀과 우즈베키스탄의 준결승전 경기가 열렸다. 전반 정우영이 선취골을 기록했다. 동료들과 함께 기뻐하는 정우영. 항저우(중국)=송정헌 기자songs@sportschosun.com/2023.10.04/
걱정은 기우였다. 황선홍엔 정우영이 있었다. 전반 38분, 긴 전환패스가 상대 진영 왼쪽 사이드에 있던 주장 백승호(전북)에게 연결됐다. 백승호는 날아오는 공을 키핑하는 대신 이마로 바로 앞에 있던 조영욱에게 연결했다. 조영욱이 상대 선수와 몸싸움에서 밀려 공을 잡지 못했고, 공은 그대로 골에어리어 부근으로 굴러갔다. 공 주변엔 우즈베키스탄 선수가 둘이나 있었다. 어찌된 영문인지 우즈베키스탄 선수들은 공을 걷어내지 않고 몸으로만 한국 선수들의 진로를 막으려고 했다. 이때 어디선가 나타난 정우영이 영리하게 공을 낚아채 골문을 열었다. 현역시절 '해버지' 박지성이 자주 보여주던 장면이다.

한국은 후반 안정적으로 경기를 운영했다. 엄원상의 부상과 같은 변수가 생겼지만, 우즈베키스탄 쪽에서 더 큰 변수가 발생했다. 후반 29분 우즈베키스탄 미드필더 부리에프가 조영욱을 향한 거친 태클로 경고를 받아 누적경고로 퇴장을 당했다. 부리에프는 전반 이강인 등을 향해 수차례 팔꿈치 공격을 했던 선수다. 결국 계속된 비매너 반칙에 대한 댓가를 치렀다. 한국은 그대로 2대1 스코어를 유지하며 결승 진출권을 획득했다.

경기 전 결승전 상대가 일본으로 정해졌다. 일본은 앞서 열린 홍콩과 준결승에서 주전급 자원을 대거 제외하고도 4대0 대승을 따냈다. 한국과 일본은 지난 2018년 자카르타-팔렘방대회 결승에서 맞붙어 당시엔 이승우의 결승골을 앞세운 한국이 2대1로 승리하며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한국은 7일 같은 경기장에서 일본을 상대로 대회 3연패에 도전한다. 팬들은 한일전에서도 정우영의 시계 세리머니가 펼쳐지길 바랄 것 같다.
항저우(중국)=윤진만 기자 yoonjinman@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