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포츠조선 김대식 기자]역대 최악의 성적을 내고 있던 중국이 신태용 감독이 이끄는 인도네시아를 잡고, 월드컵 진출을 위한 작은 희망을 살려냈다.
중국은 15일 중국 칭다오의 칭다오 청소년 축구경기장에서 열린 인도네시아와의 2026년 북중미월드컵 아시아 3차 예선 C조 4차전에서 2대1로 승리했다. 2차 예선 포함 4연패를 달리고 있던 중국은 드디어 승점 3점을 가져왔다.
|
중국의 선제골에도 경기 양상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중국은 효율적인 경기 운영을 선택했고, 동점골이 급한 인도네시아가 반격에 나섰다. 전반 40분 이바르 제너가 강력한 슈팅을 시도했지만 골키퍼 왕 달레이의 선방에 걸리고 말았다.
위기를 넘긴 중국이 격차를 더욱 벌렸다. 전반 44분 마음이 급한 인도네시아 수비진이 무너진 상태에서 중국이 볼을 소유했다. 가오 준위가 측면에서 장 위닝을 향해 완벽한 스루패스를 찔러줬다. 장 위닝이 깔끔하게 마무리하면서 중국이 기분 좋게 전반전을 마무리했다.
|
인도네시아가 만회골을 터트렸지만 시간이 너무 늦었다. 후반 40분 아르한이 스로인에서 길게 문전으로 연결했다. 중국 수비진이 매끄럽게 처리하지 못하면서 톰 하예가 득점을 터트렸다. 인도네시아의 불꽃은 뒤늦게 불타올랐지만 거기까지였다. 동점골까지는 만들어내지 못했다.
|
하지만 3차 예선 시작 후 중국은 일본에 0대7 참사를 당하면서 시작했다. 사우디아라비아에 1대2 패배, 호주에 1대3으로 무너지면서 3연패를 기록했다. 중국이 아시아에서도 축구 강국은 아니지만 월드컵 예선에서 4연패를 한 건 역사상 처음있는 일이었다.
|
중국이 마지막 희망은 C조 최약체로 분류되던 인도네시아를 상대로 승리하면서 분위기 반전을 시도하는 것밖에 없었다. 중국은 벼랑 끝에서 살아났다. 경기 후 몇몇 중국 선수들은 눈물을 흘렸다. 골키퍼 왕 달레이는 경기 후 눈물을 쏟아낸 선수 중 한 명이었다.
|
반면 신태용 감독의 인도네시아는 많은 게 꼬였다. 중국을 만나기 전까지 사우디와 호주를 상대로 비기면서 분위기가 정말 좋았다. 하지만 지난 바레인전에서 경기 종료 직전에 실점해 3차 예선 첫 승에 실패했다. 3경기 연속 무승부에 그치면서 조 5위로 하락했다. 2위권과의 격차가 적었기에 중국을 잡는다면 3위권까지도 노려볼 수 있었다.
|
그래도 4위 안에 포함되면 4차 예선에 갈 수 있기 때문에 인도네시아도 아직 포기할 단계는 전혀 아니다. 신태용 매직은 정말 기적과 같은 순간에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