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칼럼에서 필자는 치아 우식증과 치주 질환을 일으키는 세균 중에서 치아 우식증을 일으키는 스트렙토코쿠스뮤탄스에 대해서 알아봤다. 구강 안에는 600종에 이르는 세균이 있고, 그 수도 지구상의 인구만큼이나 많지만 큰 병을 일으키지 않고 유지되는 것은 인간과 세균이 적절한 상생 관계를 유지하면서 하나의 구강 생태계가 유지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했다.
1990년대 이르러 지그문트 소크란스키(Sigmund Socransky) 박사는 세균을 크게 6 개 그룹으로 분류하면서 치주 질환의 진행에 따라서 특정 그룹의 세균이 많아진다는 것을 밝혀냈고 진행이 많이 된 상태에서 많이 나타나는 세균의 그룹을 레드군(red complex)과 오렌지군(orange complex)으로 명명했다.
기본적으로 치태를 잘 관리해야 한다. 우선 칫솔 뿐만 아니라 치실과 치간 칫솔을 사용해 양치질을 철저히 해야 한다. 또한 치과에서 정기적으로 스케일링을 받고 치과 의사의 진단에 따라 추가적인 치주 치료를 받아야 한다.
이 같은 사항을 잘 지켰는데도 다른 사람에 비해서 치주 질환이 심해지면 구강 세균 검사를 받아봐야 한다. 구강 세균 검사를 받아서 수치가 평균적인 환자에 비해서 현저히 높으면 좀 더 적극적인 관리와 치료가 필요하다.
세균 검사는 먼저 환자의 타액이나 치주낭을 통해서 받은 샘플을 분석의뢰기관에 보낸다. 검사 결과를 환자에게 통보하는데 치주 질환을 많이 일으키는 세균의 종류와 양 그리고 그에 따른 치주 질환의 위험도가 수치로 나온다. 이 수치에 따라서 그 환자의 상태와 조건에 맞는 치주 치료를 하게 된다.
특히 ▲구강 관리에 신경 쓰는데도 치주 질환에 쉽게 이환되는 환자 ▲치주 질환이 특정 부위를 중심으로 심하게 진행되는 20~30대 환자 ▲치주 질환으로 치아를 발거하고 임플란트를 계획하는 환자 ▲임신 가능성이 있는 환자 ▲교합적으로 매우 불리한 조건을 가진 환자 ▲당뇨를 앓고 있는 환자 등은 많은 수가 구강 세균 검사를 필요로 한다. 글·이호정 서울순치과 원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