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을 치료하기 원하는 환자 한 명이 진료실에 들어온다. 이 환자의 비만의 패턴에 대해서는 이미 유전자 분석이 완료됐고 그 결과를 가지고 오늘 상담을 할 예정이다. 이 사람의 비만 패턴은 유전자 분석을 통해 그 양상이 알려진지 오래됐고 이미 어렸을 때부터 이러한 비만이 될 것이 예상돼왔던 터라 치료방법을 선택하는 것에도 전혀 어려움이 없다. 이미 이러한 패턴의 비만 환자에게 효과적인 운동과 적절한 칼로리와 음식 종류가 무엇인지 데이터베이스화 되어있기 때문에 앞으로 이 환자는 스마트폰으로 전송되는 지시사항에 따르기만 하면 적절한 체중감량을 할 수 있게 된다. 앞으로 이 환자가 손목에 차고 있는 전자 장비를 통해 신체 활력지수와 에너지 소모량이 실시간으로 병원으로 전송이 될 것이고 이를 바탕으로 치료 효과를 판단해 환자에게 포만감을 유지시키면서 칼로리가 제로인 음식을 권유하거나 환자의 지방세포에서 에너지원을 추출해 사용하게 하는 방법을 적용할 예정이다.'
그래서 그런지 의사들 사이에서도 비만치료 영역에서의 첨단 기술에 대한 논의가 자주 일어나고 있다. '앞으로 이러한 기술들이 의사들의 업무를 대체할 거다'라든가, '이러한 기술은 절대 기계가 대체할 수 없을 거다'라는 식으로 말이다. 눈부신 과학기술의 발달과 함께 의료영역에서도 새로운 기계들에 대한 아이디어들은 다양하게 터져 나오고 있고 특히나 비만 영역에 관심이 있는 의사들은 운동, 식이 분야에서 과학적 기술들이 적용된 다양한 디바이스들을 개발하는데 힘을 쏟고 있다. 실제로 이러한 디바이스들은 이미 적지 않게 개발돼있고 지금도 많은 연구개발들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아이디어들이 과연 상업적으로 성공할 것인지, 근거 있는 효과를 보여줄지에 대한 궁금증들로 이어지고 있는 단계다.
노파심에 덧붙이자면 이러한 미래의 다이어트법을 상상하며 기다리고 있는 현재의 우리는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 어차피 미래에는 더 쉬운 방법으로 살을 뺄 수 있을 테니 지금 고생하면서 살을 빼야할 이유는 없는 걸까? 더 나은 기술이 나올 때까지 오늘 하루 마음 편히 먹고 마시면 되는 걸까? 답은 명확하다. 우리가 꿈꾸는 기술은 지금 당장 운동화 끈을 동여매고 밖으로 나가서 땀 흘리며 자전거 페달을 밟는 이들을 위한 것이지 더 쉽게 살 빼는 방법을 찾으며 소파에 드러누워 조각 케이크를 먹고 있는 사람을 위한 것은 아니라는 것은 굳이 말하지 않아도 될 듯하다. 글·오승민 체인지클리닉 원장(대한비만체형학회 학술이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