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장학금 등을 미끼로 한 대학생 대상 금융사기가 잇따라 발생하고 있다.
사기범들은 대학생들의 금융지식·사회경험의 부족한 점과 상호저축은행 등 제2금융권에서 대출이 용이하다는 점을 이용했다.
또한 대학생 B씨는 삼촌이 장학재단 고위층이라며 같은 학교 학생들에게 접근했다. 금융회사에서 학자금 대출을 받아 학교에 맡기면 원리금을 보장해 주고 대출금액의 20%를 장학금으로 지급받게 해주겠다고 속였다. 이후 그는 학생들의 주민등록등본과 공인인증서, 통장사본 등을 받아 인터넷 대출 후 도주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사기범에게 속아서 직접 대출을 신청하거나 대출금을 받는 것에 동의한 경우, 본인이 상환책임을 부담해야 하고 피해구제도 어려우므로 대출사기를 당하지 않도록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어떠한 경우에도 제3자가 장학금 지급이나 취업 등을 미끼로 금융사로부터 대출받으라는 요구에 응해서는 안되며, 신분증, 공인인증서, 보안카드 등 중요한 정보를 제공해서도 안된다"고 당부했다.
아울러 금감원은 대학생 학자금 지원제도도 안내했다.
한국장학재단은 취업 후 원리금을 갚는 '든든학자금 대출'과 농어업인 자녀를 위한 '농어촌출신 대학생 학자금 융자' 등을, 신용회복위원회는 학자금·생계비 용도로 연 20% 이상의 고금리 채무를 부담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은행권 저금리대출로 전환해주는 제도를 각각 운영 중이다. 이밖에 미소금융재단에서는 자활의지가 있는 저소득·저신용 청년·대학생에 창업·운영자금 등을 무담보·무보증으로 대출받을 수 있는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