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과 위생을 중시하는 깐깐한 한국 주부들을 만족시키기 위한 글로벌 브랜드들의 현지화 전략이 눈길을 끌고 있다. 특히 리미티드 에디션을 출시하거나 단기 프로모션을 펼치는 등 단순한 로컬라이징 마케팅에서 나아가, 한국 고유의 문화와 소비자들의 의견을 반영해 제품의 '소재'부터 재개발하고 변경하는 근본적인 현지화로 국내 주부들의 마음을 공략 중이다.
|
매일유업의 자회사 제로투세븐(대표 조성철)이 독점 수입·유통하는 '토미티피(tommeetippee)'가 지난 9월 출시한 PESU(폴리에스테르설폰) 소재 토미티피 '모성수유 PESU 젖병'은 유아용품 로컬라이징 사례의 대표로 꼽히며 한국 엄마들에게 인기를 얻고 있다. '모성수유 PESU 젖병'은 제로투세븐이 영국 본사를 3년간 설득한 끝에 탄생한 제품으로, 한국 고유의 수유 문화와 아시아 아기의 특성이 반영된 '한국 맞춤형' 젖병이다.
매일유업 자회사 제로투세븐 관계자는 "토미티피의 '모성수유 PESU 젖병'은 전세계 40개국에 진출한 50년 전통의 영국 글로벌 브랜드가 한국 엄마들을 공략하기 위해 기존 제품을 소재부터 새롭게 바꿔 현지화한 사례"라며, "깐깐한 한국 엄마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고 있는 이번 제품은 세계 최초 한국 출시를 시작으로 아시아 및 세계 시작에 순차적으로 선보일 예정"이라고 밝혔다.
◆ 독일 휘슬러코리아, 단단·고염분 식재료 손질 잦은 한국 식문화 고려해 칼 소재 변경
글로벌 주방용품 업체에서도 한국인의 식습관과 특성을 연구, 이에 맞춰 소재를 변경해 현지화한 제품으로 국내 주부들의 인기를 얻고 있다. 독일의 명품 주방용품업체 휘슬러코리아의 한국형 주방칼인 '프리미엄 나이프'가 대표적이다.
휘슬러코리아의 '프리미엄 나이프'는 단단하거나 고염분의 식재료 손질이 잦은 한국 음식의 특성상 칼이 무뎌지기 쉽다는 점을 고려해 휘슬러 독일 본사가 칼의 소재를 수정한 주방칼이다. 한국 식문화 연구를 토대로 소금과 고온에 강한 금속인 몰리브덴 함유량을 증대시킨 스테인레스 스틸을 적용, 칼을 자주 갈지 않아도 쉽게 무뎌지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 프랑스 테팔, 믹서기의 플라스틱 용기를 유리 소재로 바꾼 나라 '한국이 유일'
프랑스 주방가전 테팔은 한국에서 처음으로 믹서기의 볼(믹서기 중 식재료를 담는 용기) 소재를 플라스틱에서 유리로 변경해 판매를 시작했다. 한국 주부들은 플라스틱 용기에 식재료를 담으면 재료의 색과 향이 소재에 밴다는 선입견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뿐만 아니라 플라스틱 재질에 대해 환경 호르몬 등의 안전성과 위생의 우려를 가지고 있어 유리를 더 선호하는 국내 주부들의 성향도 십분 반영했다.
그 결과, 지난 2013년 미니 믹서기 최초 유리 용기를 적용한 '클릭앤테이스트 미니 믹서기'는 해외에서도 한국을 따라 유리 용기를 적용해 판매되는 등 소비자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전상희 기자 nowater@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