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말기유통구조개선법(단통법) 시행 후 첫 회계연도인 지난해 이동통신3사가 8000억원에 가까운 마케팅 비용을 절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KT와 LG유플러스의 IR 자료에 따르면 KT는 지난해 2조8132억원의 마케팅 비용을 지출했다. 2014년의 3조1528억원에 비해 10.8% 감소한 수치다. 금액으로는 3400억원 가량이 절감됐다. KT는 지난해 1분기 7082억원, 2분기 6742억원, 3분기 6895억원, 4분기 7413억원을 마케팅에 투입했다.
LG유플러스의 지난해 마케팅비용은 1조9987억원으로 2014년 2조962억원보다 1000억원 가량을 절약했다. LG유플러스는 1분기 5038억원, 2분기 4757억원, 3분기 4901억원, 4분기 5290억원을 마케팅에 지출했다.
LG유플러스는 컨퍼런스 콜에서 "시장이 과열되지 않아 재고 자산이 증가했다"며 "시장 침체로 인한 유통점의 자금 부담을 덜기 위해 장기 대여금도 늘렸다"고 전했다.
SK텔레콤은 아직 실적발표를 하지 않아 정확한 비용 확인이 어렵다. 다만 업계는 지난해 SK텔레콤이 마케팅 비용을 전년대비 10%가량 축소한 것으로 보고 있다.
SK텔레콤의 2014년 마케팅 비용이 3조5730억원이란 점을 감안하면 3500억원 가량이 줄어들다는 분석이다. SK텔레콤은 지난해 1분기 8460억원, 2분기 7400억원, 3분기 7490억원의 마케팅 비용을 지출했다.
이통3사의 전체적인 마케팅비 절감은 8000억원 가량으로 2014년 10월 단통법이 시행 이후 통신시장에서 무리한 가입자 유치전이 사라진 결과로 풀이된다.
업계 한 관계자는 "번호이동이 줄고 기기변경이 늘면서 이동통신 서비스 마케팅에 쓰는 비용이 눈에 띄게 축소됐다"며 "마케팅 비용 감소는 영업이익 개선에 도움이 됐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세형 기자 fax123@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