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환자 발병률 일본의 1.3배…5년 생존율 69.4%

기사입력 2016-02-03 14:46


국내 암 발병률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보다 높고 일본의 1.3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일 생명보험협회가 국립암센터 통계 등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13년 국내 암 발병자 수는 22만5343명으로, 2012년에 비해 1166명 증가했다. 연간 암 발병자 수는 1999년 10만1032명을 기록한 이후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 인구 10만명 당 암 발병자 수는 285.7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일본 217.1명의 1.3배에 달하는 수치며, OECD 평균 279.3명보다도 높은 수준이다.

생보협회는 "우리나라 국민이 평균 수명인 81세까지 산다고 계산하면, 사망 전 암에 걸릴 확률은 36.6%(남자 38.3%, 여자 35%)에 달한다"고 설명했다. 국립암센터 통계에 따르면 남녀 전체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 암은 갑상선암이었으며, 이어서 위암, 대장암, 폐암, 유방암, 간암, 전립선암 순으로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자의 경우 위암, 대장암, 폐암, 간암, 전립선암 순, 여자의 경우 갑상선암, 유방암, 대장암, 위암, 폐암 순으로 많이 발생했다.

의료기술의 발달로 암 발병 후 생존율 또한 계속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보협회는 "2009~2013년 암 발병자의 5년간 생존율은 69.4%로, 1993~1995년 발병자와 비교하면 28.2%포인트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5년 생존율은 미국, 캐나다, 일본 등과 비교해서도 높거나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2004~2008년 발생한 암환자의 10년 생존율 또한 56.9%로 지속적으로 향상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따라 암 치료를 위한 의료비도 계속 증가하고 있다. 2002년 국내에서 암 치료에 사용된 직접의료비는 1조5000억원이었으나 2009년에는 4.2배인 6조3000억원으로 늘었다.

생보협회는 "암에 걸렸을 때 가장 우려되는 것이 '치료비 부담'으로 꼽히는 만큼 보험을 통해 대비하는 것이 좋다"면서 "암보험 가입 시에는 보장내용과 보장기간 등을 꼼꼼히 살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