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직장 내 육아휴직자 절대다수는 여전히 여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7일 여성가족부가 세계 여성의 날을 앞두고 발표한 '통계로 보는 여성정책 주요 성과'에 따르면 작년 육아휴직자는 8만7천339명으로, 2012년에 비해 36%(2만3천270명) 늘었다.
여성가족부는 일과 가정의 양립 문화가 확산하고 남성의 육아 참여를 지원하는 '아빠의 달' 제도가 도입되면서 육아휴직을 활용하는 남성이 늘어났다고 분석했다.
전체 육아휴직자 94.4%가 여성으로, 절대적 비중을 차지했다.
여성가족부 자료에 따르면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를 이용한 사람은 지난해 2천61명으로 2013년(736명)에 비해 급증했다.
육아휴직 배우자 출산휴가 등 가족친화제도를 모범적으로 운영하는 가족친화 인증기업도 2013년 522개에서 지난해 1천363개로 많아졌다.
여성 고용률은 2012년 53.5%에서 2015년 55.7%로 증가 추세를 보였고, 지난해 정부위원회 여성 참여율은 34.1%로 1998년 해당 조사 시작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한편 한국여성단체협의회는 8일 오후 2시 여의도 국회 헌정기념관에서 '여성, 대한민국을 확 바꾼다!'를 주제로 제108회 세계 여성의 날 기념대회를 연다. <스포츠조선닷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