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평균 전세보증금 1억원 넘어섰다

기사입력 2016-03-14 14:13


우리나라 전세가구의 평균 전세보증금이 1억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통계청·금융감독원·한국은행의 '2015년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전세 가구가 낸 전세금은 평균 1억598만원으로 조사됐다. 이는 전년도 전세금 9930만원보다 6.7%나 상승한 금액이다. 2010년 첫 조사 때 7496만원이었던 전세 보증금은 매년 상승세를 거듭하다, 지난해에 처음으로 1억원을 넘었다. 근래 폭등하고 있는 전세금과 전세난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

그러나 전세 세입자의 소득은 전세금 상승을 따라가지 못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전세 가구의 평균 경상소득은 4729만원으로 전년보다 0.5% 늘어나는 데 그쳤다. 이는 2010년 조사 이래 전세 가구의 경상소득 증가폭 중 가장 낮은 수치였다. 2010년엔 전세 가구의 경상 소득이 3910만원, 전세금은 7496만원으로, 전세금이 소득의 1.9배였다면 지난해 전세금은 소득의 2.2배나 됐다. 결국 지난해 소득은 0.5% 느는데 반해 전세 보증금은 6.7%나 상승해, 전세금을 마련하기 더욱 어렵게 된 셈이다.

전세금 마련이 어려운 가구들은 은행이나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받은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전세 가구 중 금융 부채가 있는 비율은 전년보다 1.8% 줄어든 57.1%로 집계됐지만 금융 부채가 있는 전세 가구의 41.6%가 전세금을 마련하기 위해 대출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금융부채가 있는 가구의 평균 부채 규모는 5561만원으로 전년보다 9.9%나 증가했다. 또한 세금과 연금, 4대 보험 등을 빼고 사용할 수 있는 소득인 처분 가능 소득에서 원리금 상환액이 차지하는 비중은 22.7%로 전년보다 2.7%나 상승했다.

KB국민은행의 주택가격동향 자료에 따르면 서울 지역 아파트 평균 전세 가격은 지난해 1월 말, 3억1864만원에서 12월 말, 3억7800만원으로 5665만원이나 급등했다. 전국 아파트 평균 전세 가격도 지난해에 2638만원이나 올랐다.


박종권 기자 jkp@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