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증 대동맥판막협착증 환자가 관상동맥이 막히지 않았는데도 불구하고 흉통을 호소하는 원인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처음으로 판명됐다.
연구팀은 관상동맥조영술로 관상동맥 폐쇄가 확인되지 않은 중증 대동맥판막협착증 환자 중 흉통이 있는 경우(43명)와 없는 경우(41명)로 나눠 아데노신을 투여했다. 심장부하 MRI검사 결과 흉통이 나타난 중증 대동맥판막협착증 환자의 경우 증상이 없는 환자보다 심근관류예비력이 현저하게 낮아졌음이 확인됐다.
심근관류예비력이란 운동 등 격렬한 활동을 할 때 심장이 더 많은 일을 해야 하는데 이때 심장근육에 피를 공급하는 능력을 말한다. 심근관류예비력이 저하되면 심장도 제 역할을 하기 힘들다.
관상동맥모세혈관의 기능저하는 좌심실이 비대해져 있었기 때문으로 확인됐다. 심장 MRI 검사에서도 흉통이 있는 환자의 좌심실질량지수가 현저히 높았다.(109.08g/㎡ vs 93.72g/㎡)
두 그룹 간 연령대나 성별을 비롯해 다른 임상적 특성들이 통계학적으로 차이가 없다는 점에서 좌심실질량지수가 증가할수록 심근관류예비력이 저하되고, 그 결과 흉통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박성지 교수는 "대동맥판막협착증 환자에서 수술여부를 결정하는데 증상의 유무가 매우 중요한 결정인자"라며 "환자의 증상이 모호할 때 이번 연구결과가 심근관류예비력을 확인해 수술 예측인자로 사용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규복 기자 kblee341@sportschosun.com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