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부동산 가격이 상승함에 따라 30대 대기업 총수가 보유한 주택 자산도 8% 넘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일 재벌닷컴에 따르면 30대 민간 그룹 총수가 본인 명의로 보유한 개별 및 공동주택의 올해 공시가격(1월1일 기준 국토교통부 산정) 합계액은 1910억원으로 1년 전(1763억원)보다 147억원(8.4%) 증가했다.
가장 비싼 주택인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이 보유한 서울 이태원동 등의 주택 공시가격 합계액은 327억원에서 356억원으로 8.9% 늘었다.
이명희 신세계그룹 회장의 서울 한남동 주택 가격은 165억원에서 194억원으로 17.9% 올라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정몽진 KCC그룹 회장이 이태원동 등에서 보유한 주택 가격은 92억원으로 8.1% 늘어났다.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의 한남동 등 주택 자산은 82억원 수준으로 6.6% 불었으며,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의 서울 가회동 주택 가격은 82억원 정도로 2.4% 올랐다.
구자열 LS그룹 회장의 경기 분당 운중동 주택 공시가격은 88억원으로 1년 전과 비슷했다.
한편, 한남동에 주택을 소유한 총수는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과 이명희 신세계그룹 회장을 비롯해 구본무 LG그룹 회장(69억원), 김준기 동부그룹 회장(44억원), 이중근 부영그룹 회장(44억원), 최태원 SK그룹 회장(25억원) 등이다.
서울 성북동에는 이웅열 코오롱그룹 회장(35억원), 이수영 OCI그룹 회장(35억원), 박정원 두산그룹 회장(31억원), 정몽근 현대백화점 명예회장(25억원), 신창재 교보생명 회장(25억원)이 주택을 보유하고 있다.
최근 계열사인 현대상선이 자율협약에 돌입한 현대그룹의 현정은 회장 보유 성북동 주택 가치는 48억원으로 2.0% 떨어졌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