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 문제의 해답은 청년 취업률에 있다?

최종수정 2016-05-02 17:50

취업자의 결혼 가능성은 남성의 경우 미취업자의 5배, 여성의 경우 2배에 달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또,
남성의 경우 미취업기간이 1년 늘면 초혼연령이 4.6개월 늦어졌다.

한국경제연구원은 1일 '취업이 결혼에 미치는 영향과 노동시장개혁에 대한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번 연구는 15세부터 49세 사이의 가임연령층과 15세부터 29세 사이의 청년층 남녀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가임연령기에 있는 15세부터 49세 사이의 남녀를 대상으로 취업이 결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남성의 경우 취업자의 결혼 가능성은 미취업자의 약 4.9배, 여성은 약 2.1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남녀 모두 미취업기간이 장기화될수록 초혼연령도 늦어졌다.

남성의 경우 미취업기간이 1년 늘어나면 초혼연령은 약 0.38년(4.6개월), 여성은 초혼연령은 약 0.15년(1.9개월) 늦어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15세부터 29세의 청년층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에서도 취업은 결혼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취업 시 결혼가능성은 미취업일 때의 약 3.5배, 여성의 경우는 1.5배 높았다. 또, 남성의 경우 미취업기간이 다른 사람보다 1년 늘어나면 초혼연령은 약 0.25년(3개월) 늦어졌다.

유진성 한국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올해 2월 청년층 공식실업률은 12.5%, 체감실업률은 23.4%를 기록하는 등 취업난이 심화되고 있다"며 "청년실업은 저출산 문제해결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이어 "향후 비혼과 만혼 문제를 완화하고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려면 취업기회 확대를 위한 일자리 창출이 필요하다"며 "노동시장개혁을 통한 일자리 창출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규복 기자 kblee341@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