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서울병원은 이비인후과 백정환 교수 연구팀이 해부 실습용 3D 측두골 모델을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이 모델은 미래창조과학부의 'ICT 기반의 의료용 3D프린팅 응용SW플랫폼 및 서비스 기술개발' 과제(경북대학교)의 지원을 받아, CT와 3D 프린터를 이용해 개발한 것이다.
측두골은 사람 머리에서 귀 바로 위에 자리한 관자뼈 주변을 뜻하며, 의사들이 복잡한 귓속 구조물을 피해 안전하게 수술하려면 측두골의 해부학적 이해가 반드시 필요하다. 중이염 수술 등이 대표적이다. 하지만 국내에서 측두골 해부학 실습 여건은 녹록하지 않은 게 현실이다. 이비인후과 의사가 되기 위한 필수 과정이지만, 시신 기증이 적은 탓에 1년에 겨우 1~2차례 정도만 실습이 가능하여 충분한 경험을 쌓기가 어렵다. 이 때문에 백정환 교수팀이만든 3D 측두골 모델이 향후 측두골 해부학 실습을 대체할 수 있을지 여부도 관심이 쏠린다.
최근 열린 제90차 대한이비인후과 학술대회에서 공개된 3D 측두골 모델은 베스트 포스터 프레젠테이션상(Best Poster Presentation Award)을 받기도 했다. 해부실습 상용화에 앞서 3D 측두골 모델의 평가 및 보완사항이 있는지를 알아 보기 위하여 산업통상자원부 '인체맞춤형 치료물 제작기반 구축 사업'과 삼성서울병원의 주관 하에 지난 22일 삼성서울병원 이비인후과 의료진의 1차 평가 실습이 진행됐다. 오는 6월 24일에는 각 대학병원의 이과 전문가의 2차 평가가 진행될 예정이다.
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