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습기 살균제 사태로 화학살충제 외면. 대신 모기장 등 친환경 제품 인기

기사입력 2016-06-02 13:11


가습기 살균제 사태 이후 화학살충제가 소비자로부터 외면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모기장이나 허브식물 등 해충 기피 효과는 있지만 화학약품으로부터 자유로운 상품들이 큰 인기를 얻고 있다.

온라인쇼핑사이트 11번가(www.11st.co.kr)에 따르면 지난달 1일부터 29일까지 모기 등 해충 대비 용품 판매 실적을 분석한 결과 스프레이형 모기퇴치제, 액상형 모기약 매출은 작년 같은 기간보다 각각 6%, 18% 늘어나는데 그쳤다.

11번가 측은 "올해 이른 더위에다 지카 바이러스 우려까지 겹쳐 모기 등 해충 관련 상품 수요가 일찍부터 늘고 있다. 이런 사실을 감안하면 스프레이형 모기약의 증가율은 매우 저조한 실적"이라고 밝혔다.

티몬(www.tmon.co.kr)에서도 지난달 1일부터 24일까지 전체 해충방지 제품군 매출은 이른 더위 등의 영향으로 작년 같은 기간의 2.3배에 이르렀지만, 화학 살충제는 25% 성장하는데 머물렀다.

하지만 '친환경' 해충 용품을 찾는 소비자는 크게 늘었다.

11번가에서 모기장·방충망 매출은 1년전의 두 배로 뛰었고, '해충 퇴치 식물'도 82%나 급증했다. 해충 퇴치 식물은 모기 등이 싫어하는 향을 내뿜는 구문초, 벤쿠버, 야래향 등을 말한다. 암모기가 싫어하는 숫모기 날개소리를 초음파로 흉내낸 초음파 해충퇴치기 매출도 54% 불었다.

티몬의 방충망 매출도 지난해 같은 기간의 7.8배에 이르렀고 원터치 모기장(3.3배), 모기채(2배), 일반 모기장(51%↑) 등도 많이 팔렸다.

업계 관계자는 "최근 가습기 살균제 사태로 소비자들이 화학용품 전반에 대해 큰 불안을 느끼고 있다. 이에 여름 살충제 시장에서는 화학물질 제품보다 친환경 상품 수요가 두드러지는 추세"라고 말했다.
이정혁 기자 jjangga@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