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보다 '공기업 사장님' 1년 새 연봉 17.8% ↑

기사입력 2016-06-06 15:12




알리오 자료.

'신의 직장'이라고 불리는 공기업답게(?) 이들 기관장들의 연봉이 경기침체와 취업난 속에서도 1년 사이 18% 가까이 올랐다.

5일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 알리오(www.alio.go.kr)에 따르면 지난해 공기업 기관장의 평균 연봉은 2014년보다 17.8% 오른 1억8198만원으로 집계됐다. 1년 전 1억5440만원과 비교하면 2757만원이 늘었다.

공기업 기관장들의 평균 연봉은 2007년 2억원대를 돌파한 뒤 2012년 2억3595만원, 2013년 2억2525만원으로 대통령과 비슷하거나 오히려 더 많이 받는 기관장들이 등장했다.

이후 2013년 말 정부가 방만 경영과 부채를 엄격히 관리하겠다며 공공기관 정상화에 나서며 2014년에는 31.4%(784만원)나 급감한바 있다. 하지만 1년 만에 다시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공기업 가운데 전년대비 연봉 증가율이 가장 높은 곳은 코레일로 2014년 1억409만원에서 지난해 1억8491만원으로 77.6%(881만원)나 급등했다.

주택도시보증공사는 75.3%(1억462만원) 증가한 2억4350만원으로 금액으로는 가장 많이 올랐다. 이들 기관장은 지난해 기본급에 준하는 액수의 성과급을 수령하며 연봉이 큰 폭으로 인상됐다.

준정부기관의 평균 기관장 연봉은 1년 전보다 7.1% 증가한 1억6626만원, 기타공공기관장은 2.8% 늘어난 1억5172만원이었다.

공기업과 준정부기관, 기타공공기관을 포함한 전체 공공기관 이사들의 평균연봉은 같은 기간 7.0% 늘어난 1억3559만원을 기록했다. 감사의 평균연봉은 1억4393만원으로 7.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체 수입 비율이 50%를 넘는 공기업이 30곳, 자체 수입이 절반에 못 미치는 준정부기관이 90곳이다. 수입 기준을 적용하기 적절하지 않거나 자율성 보장이 필요할 경우 지정되는 기타공공기관은 203곳이다.

매년 평균 물가상승률은 5%내외다. 직장인들의 연봉이 5% 인상될 경우 실질적으로는 인상분이 없다. 하지만 연봉이 매년 5%씩 상승하는 직장인 아주 극소수에 불과하다.

결국 국민의 세금으로 운영되는 소위 '신의 직장' 소속이 아니고는 매년 오르는 물가에 헐떡일 수밖에 없고, 그 와중에 세금으로 공공기관의 연봉 인상을 지원하고 있는 셈이다.
이규복 기자 kblee341@sportschosun.com


알리오 자료.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