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년전 유방암 수술을 받은 마흔살 유모씨는 최근 재발해 2차 수술을 받았다. 유씨는 "수술 후 재발 방지를 위해 5년간 복용해야 하는 타목시펜을 지난해부터 먹지 않았다가 암이 재발했다"며 "이 약의 부작용인 폐경 증상을 참기 힘들어서 약을 끊었는데 너무나 후회된다"고 말했다.
우울증약: 우울증은 뇌 안의 특정 호르몬 상태가 불안정해서 생기는 질병으로, 치료제를 먹지 않으면 낫지 않는다. 그런데 환자는 자신이 우울증이라는 사실을 부인하면서 진료·복약을 거부하는 경향이 아주 강하다. 입에 알약을 넣고 나중에 뱉어내는 일도 비일비재해서, 복약순응도를 높이기 위해 알약이지만 물 없이 침으로 바로 녹는 형태의 약이 나오기도 했다. 일주일에 한 번만 먹는 약도 나와 있다.
결핵약: 여러가지 약제를 오래 먹어야 하는 데다가 부작용까지 심해서 복약순응도가 낮다. 결핵전문병원에서 사망한 환자 유품에 결핵약이 수북이 쌓여 있는 경우가 흔할 만큼 복약 거부감이 심하다. 기존 약값이 한 알에 몇십 원 수준으로 워낙 싼 것도 처방받은 약을 먹지 않는 데 일조한다. 가격이 비싸도 부작용이 적은 신약으로 바꿔보는 것도 방법이다.
한편, 복약순응도를 높이기 위한 신약도 개발되고 있다. 최 위원장은 "일례로, 예전의 골다공증약은 공복에 물을 많이 마시면서 복용하고, 복용 후에는 눕거나 음식을 바로 먹으면 안되는 등의 제약이 많아서 복약순응도가 낮았지만, 요즘은 한 달에 한 번 복용하는 약이 나와서 복약순응도가 크게 높아졌다"고 말했다.
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