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사용으로 '목디스크' 환자 24% 급증

기사입력 2016-06-19 15:50


스마트폰 등 최신 IT기기의 사용이 늘어남에 따라 최근 5년 사이 목디스크 환자가 24%나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건강보험진료비 지급자료 분석결과에 따르면 목디스크로 불리는 '경추간판장애'(질병코드 M50) 진료인원이 2010년 69만9858명에서 2015년 86만8729명으로 24.3% 증가했다. 그 사이 총진료비도 1666억원에서 2260억원으로 35.6% 올랐다.

장호열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신경외과 교수는 "일반적으로 목디스크를 유발하는 흔한 요소로는 작업 강도, 자세, 연령, 흡연 등"이라며 "스마트폰과 태블릿PC 등 IT기기의 사용이 늘어남에 따라 잘못된 자세로 인해 목에 무리가 가는 것이 목디스크 환자가 늘어난 원인 중 하나"라고 말했다.

목디스크는 50대에서 가장 많이 발생했다. 지난해 인구 10만명당 환자수는 50대가 533명으로 40대(369명), 60대(340명), 70대(184명), 30대(175명), 20대(69명)보다 많았다.

50대 중 특히 여성의 발병 빈도가 높아 50대 여성의 목디스크 환자는 10만명당 625명로 441명인 남성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 교수는 "50대 환자가 특히 많은 것은 30대 중반부터 시작되는 퇴행성 변화가 심해지기 때문"이라며 "30~40대 환자는 무리한 운동이나 잘못된 자세로 목디스크가 오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이어 "수술만이 아닌 통증차단술, 운동치료, 수핵성형술 등의 최소 침습적인 치료법의 개발 및 보급과 환자들의 선호로 진료가 환자수가 늘어난 부분도 있을 났을 것으로 판단된다"고 덧붙였다.

목디스크를 예방하려면 목의 자세를 평소 바르게 하고 고개를 약간 드는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좋다. 컴퓨터 작업 때 모니터는 눈높이로 하고 거북이 목이 되지 않도록 자세를 바로잡는 것도 중요하다. 장시간 컴퓨터 작업을 하거나 스마트폰을 오래 본다면 자주 스트레칭을 해 목 뒷부분과 어깨 근육을 풀어줘 만성적인 통증이 생기지 않도록 해야 한다.

목디스크에 걸렸다면 베개를 높지 않은 것으로 뒷목까지 베도록 하는 것이 좋다. 걷기 등 운동을 하거나 체중을 조절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이규복 기자 kblee341@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