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의 공인중개사들은 올해 하반기 주택 매매·전셋값은 보합세를 보이고, 주택 가운데 신규 아파트 분양시장이 가장 호황을 누릴 것으로 예상했다.
보합을 선택한 이유에 대해선 주택경기의 불확실성으로 인한 관망세를 꼽은 응답자가 62%로 가장 많았고, 상승·하락요인 혼재(21.8%), 정부 정책의 불확실성(10.4%) 등 순이었다.
집값이 상승할 것이라는 응답은 수도권이 38.3%인 반면 지방은 10.8%에 그쳤고, 지방은 특히 주택가격 하락을 점친 중개사가 33.3%를 차지해 보합 다음으로 많았다.
하반기에 가장 호황이 예상되는 주택 유형으로는 신규 분양아파트를 꼽은 응답자가 26.1%로 가장 많았고 재건축·재개발(22.7%), 기존아파트(11.8%), 아파트 분양권(11.7%), 단독주택(10.9%), 다가구주택(7.2%)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주택시장을 좌우할 가장 큰 영향력 있는 변수로는 대출 규제·정책규제 강화(26%)가 꼽혔고, 국내 경제 여건(18.4%), 대외경기 변화(15.3%), 주택공급물량 정도(13.7%), 기준금리 인하(11.0%) 등의 순으로 응답자가 많았다.
이정혁 기자 jjangga@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