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S 텀블러, 불법·유해 정보 최대 온상?

기사입력 2016-11-21 11:22


인터넷 서비스 중 텀블러(tumblr)가 올해 상반기 음란·성매매·마약 등 불법·유해 정보의 유통 때문에 관계당국으로부터 가장 많이 적발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불법·유해 정보의 최대 온상으로 꼽혔던 트위터를 제쳤다.

21일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방송통신 심의동향'을 보면 올해 1~6월 텀블러는 불법·유해 정보를 퍼뜨리다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시정요구를 받은 사례가 5520건으로 조사됐다. 텀블러는 짧은 글·사진·동영상을 공유하는 미니 블로그형 사회관계망서비스(SNS)로 특히 음란물이나 성매매 권유 콘텐츠가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트위터 등의 사진을 검색해 볼 수 있는 웹사이트인 '포토슈가'가 4964건, 트위터가 2088건으로 뒤를 이었다.

트위터는 작년에는 방심위 시정요구가 1만602건으로 불법·유해정보의 최대 진앙으로 집계됐지만, 올해 상반기 들어서는 적발 건수가 텀블러의 약 38% 수준으로 줄었다.

방송통신심의 위원회 측은 "텀블러가 트위터보다 동영상을 더 쉽게 올릴 수 있고 콘텐츠를 편하게 볼 수 있다는 등 이유로 작년부터 불법·유해 정보가 대거 쏠리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며 "텀블러가 급부상하면서 트위터의 적발 건수가 상대적으로 줄어든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반면 국산 SNS인 싸이월드는 올해 상반기 시정요구가 589건인 것으로 조사됐다. 포털서비스인 네이버·다음은 같은 시기 시정요구가 각각 0건과 5건에 불과했다.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도 상반기 시정요구 건수가 31건과 10건에 그쳤다. 다만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은 특정 사용자들 사이에서 공유된 콘텐츠를 제삼자가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아 모니터링 '사각지대'에 속해 시정건수보다 훨씬 많은 불법·유해 정보가 돌아다닐 가능성은 충분하다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불법·유해 정보 유통은 사용자 수와 국내외 접근성 등이 높은 SNS 서비스에 몰리는 경향이 강하다"며 "SNS 사용 순위 상위권에 올라 있는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의 경우 적발되지 않은 불법·유해 정보 유통량은 상당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세형 기자 fax123@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