얇아져 가는 빈곤층 지갑… '가처분소득' 최대 폭 감소

기사입력 2016-12-05 10:54


월 소득 하위 10% 이하인 극빈층의 지난 3분기 '가처분소득'이 2003년 통계가 작성된 이후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가처분소득은 소득에서 세금과 연금, 보험료 등 비소비지출을 뺀 것으로 통상적으로 의식주 생활을 위해 한 가구가 실제로 지출할 수 있는 금액을 뜻한다. 소득이 낮은 계층을 중심으로 경기불황의 여파가 더 심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5일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 3분기 월 소득 기준 10개 분위 중 1분위(하위 10%) 가구의 월평균 가처분소득은 71만7000원으로 지난해 같은 분기보다 16.0% 감소했다.

1분위 가처분소득은 2013년 4분기부터 지난해까지 한 번도 줄지 않고 매 분기 10% 내외로 꾸준히 증가해 왔다. 하지만 올 1분기 4.8% 감소하며 2년여 만에 마이너스로 전환한데 이어 3분기에는 감소세가 더 커진 모양새다.

1분위의 가처분소득이 줄어든 가장 큰 이유는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의 감소다. 1분위 근로소득은 올해 1, 2분기 각각 약 16% 감소한데 이어 3분기에는 25.8%나 줄어들며 사상 최대의 낙폭을 기록했다. 사업소득은 같은 기간 16.8% 떨어졌다.

1분위 가구의 낙폭이 가장 컸고 2분위(하위 10∼20%)와 3분위(하위 20∼30%)는 같은 기간 각각 2.5%와 1.0%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4∼10분위 구간은 모두 늘었다.

특히, 가장 소득이 많은 10분위(상위 10%) 가구의 가처분소득은 같은 기간 3.2% 늘어나며 올 들어 가장 큰 폭의 증가세를 보였다.

경기불황 속에서도 상위 소득자들의 생활에는 큰 피해가 없는 반면, 저소득층은 불황의 여파를 직접적으로 받고 있음을 보여준다.

전문가들은 1분위의 가처분소득이 큰 폭으로 줄어든 이유로 일용직 일자리 감소를 꼽는다. 실제로 지난해 2분기 이후 꾸준히 증가해온 일용직 일자리가 올 1분기 7.8% 감소한데 이어 2분기에도 6.5% 줄었다.
이규복 기자 kblee341@sportschosun.com


국가통계포털 내 1분위 자료 중.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