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불황의 그림자가 짙어지고 있는 가운데도 고가 패딩은 오히려 매출이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온이 뚝 떨어지면서 외투가 많이 팔렸지만 그중에서도 프리미엄 제품의 매출 신장률이 눈에 띄게 높았다.
지난달 현대백화점 전체 매출은 작년 같은 기간보다 1.5% 감소했다. 그러나 프리미엄 패딩과 모피 매출은 각각 35.3%, 13.9% 늘었다. 명품브랜드가 포함된 해외패션 부문은 매출이 11.3% 증가했다.
백화점업계는 사회 전반적으로 소비가 위축되면서 당장 필요한 제품이 아니면 구입을 미루는 경향이 있지만 고급 패딩의 매출은 늘었다고 밝혔다.
하지만 해외 명품 등 고가 상품군의 매출이 전반적으로 좋은 것은 아니라고 덧붙였다. 실제로 현대백화점에서 11월 가전제품(-5.1%), 가구(-3.1%), 식기(-3.3%) 등 가정용품 매출은 감소했다.
다른 백화점에서도 지난달 대형가전은 매출이 11.3% 감소했다. 김장을 앞두고 김치냉장고 수요가 가장 많은 시기임에도 고가의 가전제품 등 내구재 수요가 급감한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의류 외에 안정적으로 매출이 나오는 품목은 식품으로 최근 집에서 혼자 술이나 밥을 먹는 '혼술족', '혼밥족'이 늘면서 롯데백화점에서 11월 소주·맥주 매출은 17.4% 신장했다. 또 즉석 조리식품을 찾는 이들이 몰리면서 지난달 25일부터 본점 식품관에서 진행 중인 '글로벌 가정 간편식 제안전'은 하루평균 매출 1000만 원을 올리고 있다. 이정혁 기자 jjangga@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