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실업률이 13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선업계 구조조정 여파가 본격화되면서 제조업 취업자가 두 달 연속 10만명대의 감소세를 보였다.
통계청이 14일 발표한 '11월 고용동향'을 보면 11월 취업자는 2659만2000명으로 1년 전보다 33만9000명 늘었다.
취업자 증가 폭은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기저효과가 나타난 8월에 38만7000명 늘어났다가 9월 26만7000명으로 떨어진 이후 두 달째 20만명대에 머물렀지만 이번에 다시 30만명대로 확대됐다.
산업별로는 최근 경기 호조를 보인 건설업 관련 취업자가 10월보다 11만1000명(6.0%) 늘어났다.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8만5000명, 4.7%), 숙박 및 음식점업(7만4000명, 3.3%), 교육서비스업(5만4000명, 2.9%) 등에서도 증가를 보였다.
하지만 조선업 경기 둔화와 구조조정 등의 영향으로 제조업 취업자는 10만2000명 급감했다.
제조업 취업자 수는 지난 7월 49개월 만에 처음으로 줄어든 이후 5개월 연속 하락세를 보였다. 특히 10월(-11만5000명)에 이어 두달 연속 10만명대의 감소세를 기록했다.
제조업 취업자가 2개월 연속 10만명 이상 줄어든 것은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8∼9월 이후 7년 2개월만이다.
11월 고용률은 61.1%로 1년 전보다 0.3%포인트 상승했다. 성별로 보면 남자는 71.7%, 여자는 50.9%로 각각 0.4%포인트, 0.2%포인트 상승했다.
청년층(15∼29세) 취업자는 1년 전보다 1만 9000명 감소했지만 인구 감소 등 영향으로 고용률은 0.1%포인트 오른 41.9%를 기록했다.
전체 실업률은 3.1%로 1년 전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청년층 실업률은 1년 전보다 0.1%포인트 상승한 8.2%로, 같은 달 기준으로 보면 2003년 11월(8.2%) 이후 가장 높았다.
연령계층별 취업자 증감을 보면 60세 이상(31만6000명), 50대(11만3000명)는 증가했지만 인구가 줄고 있는 40대(-4만5000명), 30대(-2만6000명), 20대(-1만6000명)는 감소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






